매일신문

[대구문화재단 성과와 과제] <하> 어떻게 변해야 하나

'대구시-인프라 구축, 재단-소프트웨어'역할 분담 분명히 해야

대구문화재단 전경
대구문화재단 전경

대구문화재단은 대구시 문화예술 관련 정책의 컨트롤 타워가 될 전망이다. 대구시 산하의 각종 문화시설과 축제의 운영을 대구문화재단이 맡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구시와 역할 분담을 위한 결단이 없으면 '대형 위탁운영기관'에 머물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대구문화재단 덩치 커질 듯

대구경북연구원은 정책과제로 문화창조발전소와 대구문학관, 범어문화예술거리, 시민회관 등 시 산하의 문화 관련 시설 10곳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도출해 오는 8월 말까지 대구시에 제안할 계획이다. 향후 문화시설의 성격 별로 카테고리를 분류해 운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 중이라는 것.

각 카테고리는 오페라하우스와 시민회관 등 공연장을 '공연예술시설', 대구국립박물관과 대구문학관 등 문화유산과 관련된 시설은 '문화보전시설', 문화창조발전소와 범어문화예술거리 등은 '문화창조생산시설'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각 카테고리별로 새로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조례 상 사업 대행자인 대구문화재단이 운영을 맡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에 따라 대구문화재단이 중장기적으로는 대구시 산하 문화 관련시설과 국제오페라축제조직위원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조직위원회 등 대구의 대표적인 문화행사 관련 단체들의 운영도 맡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대구문화재단의 위상과 기능, 역할, 규모에 큰 폭의 변화가 불가피한 셈이다.

◆대구시의 위탁운영업체 안돼

문화예술계에서는 대구시와 대구문화재단의 역할 분담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한다. 문화 인프라 구축은 대구시가 맡되, 문화정책의 발굴과 운영 등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분야는 재단에 맡겨야 한다는 것.

대구시가 '판'을 짜고 문화재단에 실무적인 '운영'만 맡기는 현재 방식은 재단의 '독립성'을 해치고 전문가 집단을 유명무실하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 대구시가 추진 중인 문화창조발전소와 범어문화예술거리의 경우 재단이 운영을 맡을 가능성이 높지만, 정작 재단은 기획 단계부터 배제된 상태다. 이는 타'시도의 사례와 비교된다.

광주문화재단의 경우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등 국책 사업만 광주시가 맡고, 문화예술행정은 문화재단이 전담하고 있다. 특히 빛고을시민문화관 관리'운영과 아트페어 등 국제행사도 문화재단이 전담 부서를 두고 기획, 운영 전체를 담당한다.

인천도 상황이 비슷하다. 인천문화재단의 경우 인천영상위원회와 인천아트플랫폼이 문화재단 조직 내에서 독립적인 사업 부서로 운영 중이고, 한국근대문학관도 문화재단이 주도해 추진하고 있다. 특히 근대 개항기 건물을 매입해 미술문화시설로 조성한 인천 아트플랫폼의 경우 미술 전문가를 영입해 특색있는 사업을 벌이고 있다.

대구문화재단 관계자는 "시가 주도적으로 문화정책을 추진하고 뒤처리만 재단에 떠넘기는 식은 곤란하다"며 "문화예술 행정의 절반 이상은 문화재단에 넘겨야 하고, 넘겨줄 시기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역량이 검증되지 않은 문화재단에 지나치게 힘이 실릴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이에 따라 조직과 인력을 정비하고 전문가 그룹의 영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폭 넓은 권한을 주되, 결과에 책임지는 조직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

대경연구원 관계자는 "기획'홍보 능력을 갖춘 외부 전문가를 영입해 독립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인건비 등에 대한 문화도시 대구건설을 위해 대구시와 시의회의 과감한 예산 지원이 아쉽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