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정국으로 전환한 여야가 대선 후보 '경선 룰'을 풀어가는 방식이 달라도 너무 다르다는 분석이다. 새누리당은 '룰 싸움'에 갇힌 반면 민주통합당은 유연하게 헤쳐나가고 있는 것.
◆룰 싸움에 갇힌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 룰을 둘러싸고 친박 진영과 비박 진영은 한 달째 평행선만 긋고 있다. 갈등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12일 서울 여의도 당사 앞에선 비박 대선주자들이 주장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을 지지하는 단체회원들이 집단시위를 벌였다.'완전국민경선제 쟁취를 위한 국민행동' 소속 회원 100여 명은 이날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로 몰려가 당 지도부의 경선 룰 논의 봉쇄에 항의했다. 이들은 당사 앞에서 피켓시위를 한 뒤 당 민원실을 찾아 완전국민경선 수용을 촉구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냈다. 당 지도부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조만간 서울광장 등에서 대규모 국민대회도 불사할 것임을 내비쳤다.
비박 대선주자들도 당 지도부를 향해 연일 맹공을 펼치고 있다. 이재오 의원은 "당 지도부가 한 사람의 눈치만 살피지 말고 완전국민경선에 버금가는 룰 수정을 요구하든, 아니면 우리의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고 압박했다. 정몽준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한 사람의 권력 욕심이 중도보수 전체를 위기에 몰아넣고 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여전히 입을 다물고 있고, 곤혹스러운 당 지도부는 '소통기구'를 통한 문제 해결로 대안을 제시했다. 황우여 대표는 12일 "룰 변경 문제를 포함해 후보들의 의견을 수렴할 공식 소통기구 구성을 비박 후보들에게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황 대표가 논의기구 구성을 통해 서로 만나 문제를 해결하자는 선으로 한 발짝 물러선 양상이지만 비박 주자들은 "진정성이 없다"는 이유로 비토하고 나서 새누리당의 룰 전쟁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유연한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는 11일 당의 원로원 격인 상임고문단 오찬 자리에서 '대선 플랜'을 내놨다. '7월 당 대선후보 경선 룰 확정, 9월 중순 당 대선후보 선출, 11월 초순 안철수 교수와의 단일화, 12월 19일 대선'이 골자다. 당헌당규대로 6월까지는 대선후보를 결정해야 하지만 예외조항을 들어 대선후보 결정을 미루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흥행을 최우선 고려 요소로 봤다. 이 대표도 이날 "올림픽 기간(7월 27일~8월 12일)과 겹치면 흥행을 일으킬 수 없다"며 대선후보 경선을 올림픽 이후로 미룬 배경을 설명했다. 게다가 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은 시'도를 순회하는 국민참여경선으로 치러지는 만큼 한 달 이상 걸리는 점도 이유가 됐다. 올림픽이 끝나자마자 경선을 시작하더라도 최소한 9월 중순은 돼야 대선후보를 확정할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이 대표는 당 대선후보를 가린 뒤 장외주자인 안철수 교수와 경쟁해 단일후보를 확정하는 '2단계 경선론'까지 내놨다. 마치 안 교수와 미리 단일화 약속이 돼 있는 것처럼 밝히는 등 경선 흥행에 불을 지피는 양상이다.
이를 두고 국회 한 관계자는 "민주당은 대선후보 경선 시기도 흥행을 고려해 당헌당규에 목을 매지 않는 유연한 모습"이라며, "이에 반해 새누리당은 철저하게 룰대로 올림픽 기간이 한창인 8월 중순에 당 대선후보를 뽑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고 비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