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째 평행선만 달리며 장기 표류하고 있는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 '룰의 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으면서 합의 도출이라는 과제를 수행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선 룰과 관련한 다양한 중재안이 쏟아지고 있는데다 새누리당 지도부도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주장하는 비박 대선주자들과의 대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
황우여 대표는 17일 여의도 당사에서 김문수 경기도지사와 만나 경선 룰 문제를 논의했다. 두 시간가량 면담에서 김 지사는 "경선 룰과 관련된 협의기구를 당 대표 산하의 직속기구로 설치해줄 것과 여야가 동시에 오픈프라이머리 실시를 위한 선거법 개정에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 이에 황 대표는 "열린 마음으로 임하겠다. (김 지사의 제안을) 존중한다"고 말했다고 새누리당 김영우 대변인이 전했다.
당 안팎에서는 김 지사가 그동안 경선 룰 협의기구를 당 지도부와 독립된 기구로 할 것을 주장했으나 이날 발언은 황 대표 입장을 살려준 것으로, 합의를 위해 한발 물러선 것이 아니냐는 풀이가 나오고 있다. 오픈프라이머리를 고수했던 이재오 의원도 16일 황 대표와 비공개로 만나 "중요한 것은 명분이다. 모두가 따를 수 있는 명분을 황 대표가 만들어주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고 한 당직자가 전했다.
경선 룰 관련 중재안도 잇따르고 있다. 또 다른 대선 주자인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17일 황 대표와 만나 경선 룰 문제와 관련해 이견을 조율했다. 임 전 실장은 이날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의원과 당원들의 투표로 1차 예선을 한 뒤 1, 2위 후보자만 현행(21만 명 규모)보다 확대된 50만 선거인단으로 2차 경선을 치르는 안을 제안한다"며 "올림픽 이후에 시작해서 9월 예선, 10월 결선 투표가 적당해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선후보 최종 결정 시 대의원과 당원, 국민선거인단, 여론조사를 2:3:3:2 비율로 합산하자"고 밝혔다. 이는 현행 경선 룰 틀을 유지하는 것으로, 친박 입장에 가까운 것이다.
당 지도부와 대선 주자들과의 만남이 지난 주말 잇따르면서 대선 '룰의 전쟁'이 가닥이 잡히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가 당 내부에서 조심스레 흘러나오고 있다. 한 당직자는 "오픈프라이머리를 고수했던 대선 주자들이 조금씩 변화의 움직임을 보인데다 당 지도부도 최대한 (그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계속 대화하겠다고 하고 있어 조만간 가닥이 잡힐 듯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오픈프라이머리를 둘러싼 '경선 룰' 문제는 여전히 안갯속이라는 의견도 만만찮다. 당 고위관계자는 "황 대표가 대선후보 경선 룰을 논의하는 기구를 당 최고위원회 산하로 18일 출범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비박 주자들은 예비후보 등록을 거부하며 맞서고 있다. 조금도 진전된 게 없다"고 말했다.
게다가 친박계 윤상현 의원은 17일 비박 진영의 오픈프라이머리 요구를 "정당정치에 어긋난다"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윤 의원은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려면 작년, 재작년부터 논의하고 제도적 보완을 위한 공청회나 토론을 했어야 하는데 총선이 끝나자마자 말하는 것은 정치공학적 시도로 진정성이 없어 보인다"면서 "안철수 지지자들이 새누리당 오픈프라이머리에 들어와 역선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