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대 고정금리 장시 주택담보대출

은행권 상품 경쟁적 출시

은행권이'장기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적격대출) 상품을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종합대책 가이드라인을 충족하는 데다 돈을 떼일 염려가 적기 때문으로 은행권에서는 관련 상품 출시가 대세가 됐다.

하나, NH농협, 씨티, 스탠다드앤드차타드(SC)가 상품을 선보인 데 이어 IBK기업, KB국민, 신한, 우리, 외환 등도 출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질 정도다.

이달 들어 장기고정금리 모기지론을 내놓은 NH농협은행은 최장 30년 간 고정금리를 적용해 금리 상승 시 가계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상품을 내놨다.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단독주택을 담보로 누구나 대출할 수 있으며 대출 기간은 10∼30년 범위에서 1년 단위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매력적인 것은 금리다. SC은행의 경우 대출기간(10~30년)에 따라 다르지만 연 4.33~4.63%의 금리를 내세운다,

장기고정금리 상품 붐에 일조한 건 금융당국이다. 지난해 6월 가계부채 대책의 하나로 고정금리 분할상환 중심 주택담보 대출 카드를 꺼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은행에 목표치까지 정해줬다. 2016년까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전체 주택담보대출의 30% 수준으로 맞추라고 했다.

고객들의 반응은 즉각적이다. 업계에서 가장 먼저 관련 상품을 내놓은 SC은행은 3개월 만에 장기고정금리 대출 규모가 1조원을 돌파했다. 기존 고정'변동금리 상품보다 0.3~0.5%포인트 낮은 금리 덕분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에도 적격대출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이곳 역시 올 3월 출시한 적격대출 규모가 1조3천억원을 넘어섰다.

업계에서는 금융당국과 은행권의 윈윈 전략이 통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고객의 금리 부담을 낮추면서 은행권은 리스크 감소 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대출과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을 2016년까지 30%로 높일 것을 주문해뒀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