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을 원작으로 영화화하여 흥행에 성공하게 되면 본디의 소설도 덩달아 판매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 정석처럼 되어 있다. 청소년 소설 '완득이'는 영화 개봉 이후 성인용 책으로 발간돼 다시 한 번 재미를 본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18살의 반항아 완득이, 난쟁이 아빠, 좀은 모자라는 말더듬이 삼촌, 이주민 출신의 엄마, 옆집의 말 많은 화가 아저씨, 삼류 무협소설 작가 누나, 똥주 선생 등이 열어가는 가상의 세계에서 어떤 꼬투리를 잡아낸다는 건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장애인, 다문화가정, 저소득층에 이르는 다양한 사람들의 진실된 모습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휴머니티와 리얼리티가 살아있는 작품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소설 '완득이'는 제1회 창작과비평 청소년문학상 수상작이다. 그런데 이 책을 청소년들에게 권장해도 되는지 매우 조심스러워진다. "너도 쪽 팔려? 새끼야, 가난한 게 쪽팔린 게 아니라, 굶어서 뒤지는 게 쪽팔리는 거다, 이 새끼들아." 그동안 마음의 문을 닫았던 완득이 세상과 소통하는 법을 배워가는 과정에서 똥주 선생과 나누는 대화의 일부분이다. 물론 똥주 선생이 말끝마다 붙이는 이 상소리는 친밀감을 드러내는 문학적 장치로 볼 수도 있다. 문제는 작품 군데군데에서 지나치리만큼 흔하게 난발하는 '×발' '새O'와 같은 상소리가 한창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의 정서함양과 우리 생활에 어떤 악영향으로 작용하게 될지 몹시 조심스럽다는 말이다.
청소년들의 언어가 갈수록 거칠어지고 있다. 길거리, 버스, 교실 등, 심지어 매우 조심스러워해야 할 어른들 앞에서도 욕설이 난무하고 있다. 청소년들이 모이는 곳이면 마치 욕 대회라도 하는 듯한 착각에서 헤어날 수가 없다. 청소년들만 입버릇처럼 욕을 내뱉는 것은 아니다. 심하게는 말 한 마디 반에 한 마디 욕설을 섞는 어른들도 많다. 무엇보다 경계하고 두려워해야 할 것은 정작 욕설을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는 사람들의 의식이다. 욕설을 입에 담는 게 더 강하고, 더 남자답다는 아주 그릇된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아 여간 안타깝지 않다. 심지어 욕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거나 욕을 마치 욕이 아닌 것처럼 위장하여 통용하는 등 욕을 일종의 언어소통 수단인 양 즐기는 것 같아 더욱 눈살이 찌푸려진다.
말씨는 곧 그 사람의 인품이다. 별 의미 없는 일종의 메우기 말이며 유행어 같은 것이라는 이유를 대더라도 욕설이 정당화되고, 합리화되어선 안 된다. 사전을 펼쳐보면 아름다운 우리말이 너무 많다. 그중에서 곱고, 예쁜 말만을 골라 쓰자. 아름다운 우리말 사용을 생활화하면 우리 사회는 훨씬 더 건강하고 밝아질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심지현(문학박사'대구가톨릭대학 강사)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