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안전한 식수 공급 위한 종합 대책 시급해

낙동강 수계의 광범위한 녹조 발생을 계기로 오염 감시 및 정수 처리 등 관리 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체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류 발생은 기상 조건 등에 따라 언제든 재발할 수 있어 현재의 관리 방식으로는 한계가 분명하기 때문이다.

먼저 4대강 수질 관리를 위해 도입한 '수질예보제'를 댐'호수에 적용하는 '조류경보제'로 일원화해 관리 기준을 대폭 높여야 한다. 클로로필-a 농도 등을 측정해 4단계로 발령하는 수질예보제는 기준이 너무 느슨한 탓에 이번 낙동강 녹조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는 등 허점을 드러냈다. 문산'매곡정수장과 인접한 강정고령보의 저수 용량이 영천댐(0.96억t)보다 많다는 점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수질예보제가 아닌 조류경보제의 대상이 되는 댐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말이다. 대구시민의 70%가 이곳에서 취수한 물을 정수해 먹는데 관리 기준이 턱없이 느슨한 수질예보제를 적용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

환경부는 7일 서울시 6개 정수장과 수자원공사 광역정수장 8개소에 2015년까지 고도 정수 처리 시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고도 정수 처리는 조류 발생 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안전한 식수 공급의 보루라는 점에서 시급한 사안이다. 하지만 이 계획안은 수도권 정수장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지역 정수장은 아예 뒷전이다.

대구경북 구간의 7개 정수장 중 고도 정수 처리 시설을 갖춘 곳은 매곡'문산'고령 등 3곳에 불과하다. 구미는 2014년까지 예정돼 있지만 상주 도남, 예천 풍양'지보정수장은 기약도 없다. 이런 상황이라면 수돗물에 대한 불안이 커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안전한 식수 공급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재고하길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