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조되는 독도수호 의지…대통령 광복절 기념사 주목

이명박 대통령의 15일 8'15 광복절 기념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독도 영유권 문제와 일본의 과거사 인식 문제 등에 대해 이 대통령이 어떤 수위로 언급하느냐에 따라 향후 한일관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청와대 측의 대응 기조는 이 대통령이 이번 8'15 기념사에서 이달 10일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한 것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는 것으로 정리되고 있다. 오히려 청와대는 한일 간에 첨예해지고 있는 독도 문제보다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교과서 왜곡 등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한 종합적이고 강도 높은 비판을 예고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본 정부의 반발에 대해 "우리 대통령이 호남이나 영남지방을 가듯, 우리 영토를 방문한 것인데 일본을 자극했다는 데에 동의하지 않는다"며 일본의 민감한 반응에 개의치 않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대통령은 이번 8'15 기념사에서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대신 이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을 통해 여러 차례 촉구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고 직접적인 표현으로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단호한 입장을 피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역시 점차 우경화되고 있는 일본 정부의 그릇된 역사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것이 청와대가 갖고 있는 인식이다.

이 같은 점은 이 대통령이 이달 10일 독도방문에 동행한 소설가 이문열'김주영 씨와 최광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등에게 "일본이 나쁜 전쟁을 일으키고 진심으로 사과해야 하는 데 그러지 않으니 응어리가 안 풀리는 것"이라고 말하는 등 일본의 역사 인식 자세를 강하게 비판했던 것으로 전해지면서 재차 확인됐다.

청와대는 이와 더불어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후 일본과의 갈등이 첨예해지겠지만 일본이 명시적인 도발을 하지 않는 한 독도에 해양과학기지와 방파제와 같은 해양시설물 건설 등 실효적 지배조치를 강화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