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영토주권은 한일 관계보다 우선한다

주일 한국대사관이 노다 일본 총리가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을 일본 내 우체국을 통해 등기우편으로 되돌려 보냈다.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과 일왕 사과 발언에 대해 일 총리가 항의하는 내용을 담았다는 바로 그 서한이다. 편지엔 이 대통령이 '시마네현 다케시마'를 상륙했다는 상식 이하의 표현이 세 번이나 나왔다고 한다. 외교부 관계자가 우리 국민이 편지 원문을 봤다면 엄청난 공분을 살 내용이었다고 밝혔을 정도다. 게다가 이 편지 내용은 우리 대통령이 읽기도 전에 일본 언론을 통해 먼저 알려졌다. 정상 간의 편지는 공개하지 않는 관례에 비춰 그들이 범한 결례다.

정부가 이를 접수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일이다. 더욱이 일본은 우리가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의 서한을 보내 놓고서는 이를 되돌려 주기 위해 우리나라 외교관이 외무성을 찾자 경비원을 동원해 출입을 막는 결례를 또 범했다. 그러면서 노다 총리는 "더할 수 없이 냉정함을 잃은 행동"이라며 오히려 한국 측을 비난하고 있다.

주일 한국대사관이 이를 우편으로 되돌려 보낸 것은 지극히 잘한 일이다. 우편물 반송 발신처로 대한민국 정부나 청와대가 아닌 주일 한국대사관을 택한 것도 당연하다. 일본 제도상 등기우편은 반드시 받아들이도록 돼 있다. 이로써 타국의 영토에 대해 터무니없는 억지를 부린 노다 총리의 편지는 현해탄을 건너지도 못한 채 도쿄의 한국대사관에 머물다 되돌아갔다.

한'일 정상 간 문서 기록으로 남기려던 그들의 의도도 수포로 돌아갔다. 이를 계기로 이명박 정부와 일본 노다 총리 사이의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질 것이다. 그렇지만 한'일 관계가 아무리 악화하더라도 이는 감수해야 한다. 영토수호는 한'일 관계보다 절대적으로 우선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