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웃사랑] 뇌출혈로 쓰러진 조선족 조상순 씨

5천만원만 벌면 돌아온다던 엄마 꿈의 땅서 뇌출혈

자식들에게 가난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한국에서 열심히 일했던 조선족 조상순(56
자식들에게 가난을 물려주지 않기 위해 한국에서 열심히 일했던 조선족 조상순(56'여'중국) 씨. 뇌출혈로 쓰러져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싸움을 하고 있다.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조상순(56'중국) 씨는 보통 엄마였다. 조선족인 조 씨는 자기 삶보다 항상 자식의 미래를 걱정했다. 고향인 중국 길림성을 떠나 한국에 온 것은 둘째 아들의 미래를 위해서였다. 중국에서는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가난을 벗어날 수 없었다. 조 씨는 아들이 결혼해서 살 집을 마련해 주기 위해 5천만원을 모아 중국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하지만 조 씨는 한국에 온 지 2년도 채 안 돼 뇌출혈로 쓰러졌고 지금 그가 꿈꿨던 삶은 저만치 멀어져 가고 있다.

◆가난의 시작

27일 오후 대구의 한 대학병원. 머리를 짧게 깎은 조 씨는 침대에 힘없이 늘어져 있었다. 지난 5월 뇌출혈로 쓰러진 뒤 말하지도, 움직이지도 못하는 생활을 하며 그의 삶은 침대에서 멈췄다. 조 씨 가족의 터전은 중국 길림성 길림시였다. 가진 것이 없었던 가족은 논을 빌려 벼농사를 지었다. 생활비를 마련하기 힘들었지만 조 씨는 자녀 교육을 포기하지 않았다. 첫째딸 송성애(34) 씨는 길림시에서 차로 5시간 정도 떨어진 도시에서 조선족 중학교에 입학해 기숙사 생활을 했다. 그 무렵 아버지는 조금이라도 돈을 더 벌기 위해서 농사일을 그만두고 건설 공사 현장을 돌며 일했다. 아버지는 요녕성 공사장에서 터파기 공사를 하다 흙이 무너지면서 다른 인부 한 명과 함께 매몰됐고 그 자리에서 숨을 거뒀다. 송 씨 나이 열다섯 살 때 일이었다. 타지에서 치러진 장례식에서 엄마와 친척 몇 명이 아버지의 죽음을 배웅했고 송 씨는 여름방학 때 고향에 내려가서야 부고를 접했다. 아버지가 죽은 지 일주일이 지났을 때였다.

"그때가 시험기간이었는데 공부에 방해될까 봐 엄마는 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연락을 하지 않았어요. 장례식도 못 가보고…."

외롭게 생을 마감한 아버지는 지금도 송 씨에게 상처로 남아 있다.

◆이웃이 떠나는 고향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뒤 가세는 더 기울었다. 엄마는 가사도우미 일을 하며 생활비를 벌었지만 아무리 열심히 일해도 한 달에 우리 돈 20만원 정도 벌었다. 이런 상황에서 송 씨는 가까스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아무리 가난해도 학교는 졸업해야 한다"는 엄마의 의지 덕분이었다. 하지만 남동생(26)은 초등학교 졸업 뒤 중학교 3년을 채우지 못하고 학교문을 나서야 했다. 송 씨는 "아버지도 없는데 자기라도 돈을 벌어야 한다며 베이징으로 가서 식당에 취업했다"며 "엄마는 남동생이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한 것이 늘 마음의 짐이었다"고 했다.

그래서 이들에게 한국은 꿈의 땅이었다. 이웃들도 한 집 건너 한 집꼴로 죄다 한국으로 돈을 벌러 떠났다. 고향에 남은 것은 어린아이들과 노인들뿐이었다. 한국에서 돈을 모은 조선족들은 중국으로 돌아가 도심에 있는 집을 산다. 송 씨는 "부부가 함께 한국에 가서 동시에 일하면 5년 안에 중국에서 집 살 돈을 모을 수 있다"며 "우리 엄마 목표도 5천만원을 모아서 남동생 줄 집을 사는 거였다"고 말했다. 엄마 조 씨는 세 식구 중 가장 먼저 한국으로 향했다. 체류기간이 짧은 단기종합비자(C-3)를 받아 대구에 왔고, 비자 특성상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으면서 일을 했다. 그러다가 지난해 12월 대구 성서산단의 한 의류 재활용 사업장에 취업해 의류를 분류하는 일을 했다. 하루 종일 한 자리에 서서 일을 하다가 저녁이 되면 기숙사로 돌아가는 일상이었지만 조 씨는 불평하지 않았다.

◆무너진 꿈

이 생활도 오래가지 못했다. 조 씨는 올해 5월 토요일 잔업 근무를 끝내고 욕실에서 샤워를 하다가 갑자기 쓰러졌다. 한참이 지나도 욕실에서 나오지 않는 조 씨를 이상히 여겨 기숙사 동료들이 문을 열고 들어가 보니 조 씨는 그 자리에 쓰러져 있었다. 뇌출혈 진단을 받고 사고 다음날 수술까지 받았지만 지금까지 건강이 회복되지 않아 침대에 누워 지낸다. 딸 송 씨가 엄마의 대소변을 받아내며 병간호를 한 지 벌써 석 달이 다 돼 간다.

회사의 도움으로 근로복지공단에 산업재해 신청을 했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근로복지공단 측은 "조 씨가 했던 일이 재활용 의류를 분류하는 단순 작업인데다 단기간 또는 만성적인 과로가 있다고 볼 만한 객관적인 근거가 없다"며 산업재해를 인정하지 않았다.

현재 송 씨는 24시간 엄마 곁을 지키고 있으며 남동생도 한국에 와 전남 목포에서 일하고 있다. 엄마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1차 병원비 1천만원은 달서구청이 전달한 긴급 의료지원금 300만원과 재활용 의류 회사 사장이 준 성금 200만원, 엄마가 모아둔 500만원으로 충당했다. 남은 입원비 500여만원과 앞으로 발생할 추가 병원비는 송 씨와 남동생이 감당해야 할 몫이다.

엄마는 항상 성경책을 끼고 살았다. 일찍 남편을 잃은 외로움, 지독한 가난 속에서 두 자녀를 키워야 하는 책임감을 교회에서 위로받았다. 한국에 와서 제일 먼저 집과 가까운 교회를 찾아갔고 그곳에서 무릎을 꿇고 기도했다. 이제는 송 씨가 엄마를 위해 기도할 차례다. 자식 때문에 제 삶을 희생한 엄마를 위해서다.

황수영기자 swimming@msnet.co.kr

※이웃사랑 계좌는 '069-05-024143-008(대구은행), 700039-02-532604(우체국) ㈜매일신문사'입니다.

매일신문'대한적십자사 공동기획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