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에는 1인 가구가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을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기대수명 연장, 초혼 연령 상승, 독신 및 이혼 증가 등에 따른 현상으로 해석된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10~2035년 시도별 장래가구 추계'에 따르면 2035년의 1인 가구 수는 762만8천 가구(34.3%)로 2010년 415만3천 가구(23.9%)보다 많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대구의 경우 2035년 전체 가구 수는 98만8천 가구로 2012년 89만 가구보다 1.1배가량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국 평균(1.3배)을 밑도는 예상치다.
가구 구성은 1인 가구가 33만 가구로 33.4%를 차지하고 부부 23만2천 가구(23.5%), 부부와 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21만2천 가구(21.5%)가 뒤를 이을 것으로 예측된다. 1인 가구 구성원의 연령은 65세 이상이 16만3천 가구(49.3%) 가장 많았다.
경북의 2035년 전체 가구 수는 125만 가구로 2012년(103만9천 가구)에 비해 1.2배 증가해 대구와 마찬가지로 전국 평균 증가세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 구성은 역시 1인 가구가 51만2천 가구로 40.9% 차지해 가장 보편적이었다. 경북은 전남(42.3%), 강원(40.9%)과 함께 1인 가구 비중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1인 가구의 증가는 기대수명 연장, 홀몸노인 증가 등으로 고령 1인 가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된다. 65세 이상의 노년층 비중은 2010년 17.8%에서 2035년 40.5%로 급증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초혼 연령이 상승하면서 젊은 싱글족이 늘고 이혼이 증가하는 것도 1인 가구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봄이기자 bo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