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니가, 대졸자라면 대구있을래?"

"많은 사람들이 '왜 젊은이들이 대구를 떠나나'라며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답은 간단합니다. 자기 스스로가 대졸 취업자라고 생각해보거나, 자기 아들이 그 입장이라면 어떻게 할 것이가 하고 질문해 보면 됩니다."

12일 제3차 대구상생고용 정기포럼 토론에 나선 박상우 경북대 교수는 "젊은이가 첫 직장을 결정하는데는 임금과 복지, 직업안정성, 성장성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게 된다."면서 "여러 면에서 부족한 지역 중소기업이 우수한 연구인력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전을 줄 수 있는 지역사회의 획기적 시스템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먼저 지역대학의 연구기능이 지역산업과 정합성을 갖고 있는지 정부차원에서 고민해야 합니다. 지역대학 교수들이 논문을 위한 논문쓰기에만 열중하고 있다면 아무리 산학협력을 강조하더라도 다 헛구호에 불과합니다."

박 교수는 또 "우수 인재가 지역 중소기업에 취업해 평생을 근무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비현실적이고 잘못된 것"이라며 "지역기업에서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창업을 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을 조성한다든지 하는 새로운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분절된 지역대학 간 연구시스템을 (가칭)연구벨트 형태로 묶어 '연구-창업'이 이어질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비할 경우, 지역 중소기업의 R&D 욕구도 해소하면서 지역출신 우수한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비전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