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보장이 되지 않는 후순위채권 발행이 늘어나고 있어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 특히 후순위채권 발행 주체도 은행 위주에서 증권사'여신전문금융회사 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금융회사가 자기자본비율을 높이기 위해 발행하는 후순위채권은 금리가 높아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지만 발행기업의 채무 변제순위가 일반채권보다 뒤에 있어 발행기업이 파산했을 때 투자자들은 피해를 보게 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후순위채권 발행잔액은 2010년 말 37조8천203억원에서 2011년 말 39조4천631억원, 올 6월 말 40조5천290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후순위채권 발행잔액이 40조원을 넘은 것은 2008년 말 이후 4년 만이다.
금융회사의 후순위채권 발행은 저축은행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 증가했다. 올 6월 말 은행의 후순위채권 발행잔액은 35조5천887억원으로 지난해 말 34조8천251억원보다 2.2% 늘었다. 증권사의 발행잔액도 지난해 말 21조561억원에서 올 6월 말 23조91억원으로 6.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보험회사의 발행잔액도 3천490억원에서 6천860억원으로 두 배 정도 급증했고 여신전문금융사의 발행잔액도 지난해 말 8천490억원에서 올 6월 말 9천54억원으로 9% 증가했다. 반면 저축은행의 발행잔액은 지난해 말 9천809억원에서 올 6월 말 7천198억원으로 26.6% 감소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의 후순위채권 발행 증가가 불완전 판매로 이어질 경우 투자자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후순위채권 발행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관리'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