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에세이 산책] 은수저의 분배

언제부터인가 '경제 민주화'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퍼지기 시작했다. 경제라는 눈사람에다 민주화라는 모자를 씌우려는 것이다. 기발한 발상이다. 그러나 눈사람은 녹기 쉽고 모자는 날아가기 쉽다. 햇빛과 바람은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친정어머니 살아계실 때 그분은 늘 당신의 기준으로 형편이 나아 보이는 자식 것을 떼어다 부족한 쪽에 채우고 싶어 하셨다. 살림이란 것이 꼭 연봉이나 아파트 평수로만 측정할 것이 아닐 텐데도 은수저 열 벌인 자식을 보면 그중 한 벌을 없는 집 자식에게 갖다 주고 싶어 안달하시는 것이었다. 다른 자식들이 여러 차례 어머니의 부당함을 지적했지만 막무가내였다. 그때의 어머니 반응은 한결같았다.

"너희들도 자식 낳아 길러봐라."

그 말씀은 그대로 사실이 되고 말았다. 나 역시 '은수저의 분배'에서 자유롭지 못했으니!

명절 때 둘째가 선물이라면서 명품 백을 내놓았다. 나는 고맙게 받았으나 순간적으로 첫째한테는 반반한 백 하나도 없는 것을 떠올렸다. 친정어머니가 은수저 열 벌 있는 자식 앞에서 한 벌도 없는 자식 떠올리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는 것과 똑같은 현상이었다.

잠시 후 나타난 첫째가 지갑을 내어놓았다. 지갑은 정말 특이하고 예뻤다. 저한테도 없는 것을 엄마를 위해 무리하게 준비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가 탐이 나는지 만지작거렸다. 나는 문득 나도 모르게 둘째에게,

"얘, 너 이 지갑 갖고 저 가방 언니한테 주면 안 될까?"

그때 만일 셋째가 나서지 않았다면 일은 어떻게 되었을까. 셋째는 단호하게 가방과 지갑 모두를 나의 무릎에 던졌다.

"엄마, 자식들 사는 것 다 각각의 몫이야. 억지로 엄마 시스템에 맞추려 들지 마!"

자식들에게 부모의 잣대대로 살아달라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러나 또한 부모의 마음이란 것이 잘사는 놈 못사는 놈 제 꼴대로 방치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은수저 열 벌인 자식 것 떼어다 없는 자식에게 갖다 주면 민주화가 이루어질까? 형제끼리 똑같이 은수저를 나누어 갖는 것이 경제 민주화일까?

뜬금없이 외할머니가 생각난다. 일자 무식꾼이었으나 십 리 밖 가난은 당신들의 책임이라 생각하셨다. 춘궁기에는 기꺼이 먹거리를 나누었고 아기가 태어나면 미역과 참기름을 보내 축하했다. 농경사회의 미덕이다. 산업사회로 넘어오면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은 게 아닐까. 말만 들어도 향기롭고 달콤한 '민주화' 앞에서 우리는 왜 이렇게 혼란스러운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小珍<에세이 아카데미 주강>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