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제설 대책을 새로 짠다.
지난해 12월 28일 60년 만에 최대 폭설(적설량 12.5㎝)이 내리는 등 기상 이변으로 인한 잦은 눈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대구시는 앞으로 강원도 강릉, 경기도 파주 등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과 한국도로공사의 제설 대책을 두루 벤치마킹한다. 우선 도시고속도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간선도로의 눈 치우기를 위해 대형 살포기 및 제설용 배토판(땅고르기 등에 사용하는 굽은 모양의 철판)을 각 10대씩 확충하고, 15t 대형 덤프트럭을 임차해 제설 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또 구'군에도 대형 제설 장비를 배치하고, 소방서별로 2대의 소방 차량에 배토판을 장착해 제설작업을 지원한다. 대구시는 현재의 개선 계획으로 주요 간선도로 등에 대한 신속한 제설 작업이 이뤄지면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다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외 ▷습염식 제설 확대 도입 ▷자율방재단 등 봉사단체 활용 ▷민간보유 장비 동원 ▷삽, 밀대, 휴대용 살포기 등 제설장비 지원 ▷주민 참여 홍보 등 제설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선할 예정이다. 습염식 제설이란 고체 상태의 염화칼슘 대신 물과 희석시킨 염화칼슘용액을 소금과 함께 살포하는 방식이다. 눈을 더 빨리 녹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비용 절감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이상준기자 all4yo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