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정부 초대 국무총리는 관리형 인사?

"총리도 부총리도 경제통 좀 그렇지 않느냐" 하마평 대부분 법관 출신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는 정책집행 실무형보다는 갈등관리형 인사가 최종 낙점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고위 법관 출신 가운데 법조계는 물론 국민들로부터 신망이 두터운 이들이 거명되고 있다.

그동안 정치권에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대선 과정에서 국민대통합과 민생경제 회복을 공약으로 내세워 국민의 선택을 받았던 점을 감안하면 경제통 또는 국민통합형 인사를 총리로 기용하지 않겠느냐는 예상을 내놨었다.

그런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이달 15일 차기 정부 조직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경제부총리제도를 부활하기로 함에 따라 국무총리는 자연스럽게 갈등관리에 능한 국민통합형 인사가 맡게 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 역시 "총리도 경제통, 부총리도 경제통이면 좀 그렇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나타낸 바 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 초대 총리는 '박근혜 민생정부'의 기조에 걸맞은 상징성과 참신함을 갖춘 인물 가운데 책임총리로서 정부부처를 총괄'조정할 수 있는 인사가 발탁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현재 하마평에 오르고 있는 인사들 대부분이 법관 출신들이다. 정치색이 옅으면서도 조정능력을 갖춘 인사들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행정 경험과 청빈함 그리고 국민적 신망까지 갖춘다면 적임이라는 평가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박 당선인의 상징이 원칙과 신뢰인 만큼 강직한 법관 출신들이 중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대통령직 인수위원장 인선 과정에서도 이 같은 당선인의 선호가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조무제 전 대법관, 이강국 현 헌법재판소장, 김영란 전 대법관,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 김용준 대통령직 인수위원장 등이 총리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조무제 전 대법관은 청빈한 일상관리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공직 부패에 대한 국민적 우려를 씻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평가다. 이강국 현 헌법재판소장은 호남 출신으로 헌법정신을 제대로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김영란 전 대법관은 부패 근절 영역에서 성과를 이룬 점이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목영준 전 헌법재판관은 법원 쇄신 과정에서 개혁 의지가 돋보였다는 점, 김용준 인수위원장은 박 당선인이 한 번 발탁한 인사를 중히 여긴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와 함께 국민대통합 차원에서 '호남 총리 발탁' 가능성도 여전히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지역보다는 능력을 우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지역 안배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