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꽉막힌 돈줄… 대구경북 제조업체 출구가 없다

국제경기 침체·내수 부진, 지난해 자금실사지수 86

지역 제조업체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하락한 가운데 증시 침체 등으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매일신문 DB
지역 제조업체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고 있다. 경기 침체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하락한 가운데 증시 침체 등으로 외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매일신문 DB

지역 제조업체 자금 조달 상황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309개 지역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지난해 말 자금 사정 실사지수(BSI)는 86으로 최근 5년 평균인 89를 밑돌았다. 특히 2011년 85~96을 오가던 자금 사정 실사지수는 지난해 80~88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한 번도 평균을 넘지 못했다. 이는 글로벌 경기 침체로 기업 내부뿐 아니라 외부 자금 조달 여건마저 나빠졌기 때문이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하락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지역에 본사를 둔 59개 상장기업(제조업)을 대상으로 내부 자금 조달 지표인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조사한 결과, 철강 업종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하락했다. 전자'통신 업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1분기 6.2%를 기록했지만 3분기에는 -3.7%로 뚝 떨어졌다. 같은 기간 자동차부품 업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도 4.3%에서 2%, 기계장비 업종은 7.8%에서 -0.2%로 내려앉았다. 반면 철강 업종은 4.7%에서 8.8%로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올해 전망도 어둡다. 원화 가치 상승에 따라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수익성이 더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원화 가치 10% 상승 시 지역 제조업체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변동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자'통신 업종은 -6.17%, 섬유 업종은 -4.5%, 자동차부품 업종은 -4.19%, 일반기계 업종은 -2.88%, 철강 업종은 -1.34%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최근에는 엔화 가치 하락까지 겹쳐 자동차부품, 철강, 전자'통신 등 지역 주력 업종의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지역 제조업체의 내부 자금 조달 여건은 올 상반기까지 어려운 상태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직접 자금 조달도 어려워

채권 발행 등을 통해 외부에서 직접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여의치 않다. 매출액 1천대 제조업체 가운데 지역에 소재한 94개 기업 중 2010년 이후 직접 자금을 조달한 경우는 16%인 15개 기업에 불과했다. 이는 직접 자금을 조달한 지역 제조업체 가운데 신용등급 A 이상인 기업이 7개에 불과할 정도로 신용도가 높지 않아 직접 금융 시장을 이용하기가 어려운 현실이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유럽 재정위기 등으로 국내 주식 및 채권 발행 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도 한 몫을 담당했다.

이에 따라 지역 제조업체들은 자금 조달을 대출에 의존하고 있다. 지역 제조업체의 은행 대출 잔액은 작년 9월 말 23조2천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8% 늘어났다. 하지만, 불황 여파로 금융권의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 여건도 나빠지고 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가 지역에 본사를 둔 41개 금융기관 여신업무 총괄 담당자를 대상으로 대출행태조사를 한 결과,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태도지수가 지난해 3분기 -3에서 지난해 4분기 -5, 올 1분기 -11로 하락했다. 대출태도지수는 값이 낮을수록 대출 심사를 엄격히 하겠다는 금융기관이 많음을 의미한다.

◆자금수급관리 강화해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기업 내외적인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에 지역 제조업들은 자금수급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수출기업을 중심으로 환리스크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 무역보험공사가 지난해 말 지역 업체를 포함해 전국의 수출 중소기업 371개 사를 대상으로 벌인 설문 조사에 따르면 환리스크를 관리한다고 응답한 업체는 15%에 불과했다. 또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금융기관의 경우 담보 위주의 대출 관행에서 벗어나 기술가치와 성장성 등을 평가하는 여신지원 시스템을 확충해 유망 중소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