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진행된 1박2일 동안의 '살풀이'에도 불구하고 민주통합당 내 계파갈등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대선 패배 책임론과 차기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 규칙을 두고 계파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1일부터 1박2일 동안의 일정으로 충남 보령에서 공동연수회를 개최했다. 당초 공동연수회에선 대선패배 요인을 분석하고 당의 쇄신방안을 논의할 예정이었지만 차기 당권을 향한 당내 각 계파의 입장을 확인하는 자리로 변질됐다.
지난해 대선을 이끌었던 친노책임론이 무한 반복되는가 하면 차기 전당대회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모바일투표 존폐 여부를 두고 설전이 전개됐다.
공동연수회 이후에도 양측의 줄다리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4일 박기춘 민주당 원내대표는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당내 계파문제가 청산단계에 있다"며 "'계파를 청산하지 못하면 민주당의 미래가 없다', '사심을 내려놓고 국민만 보고 가야 한다'는 각오가 워크숍을 통해 얻은 결과"라고 말하며 봉합에 나섰지만 전혀 수습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먼저 당내 비주류에선 대선 패배에 따른 '주류 2선 후퇴'를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재인 전 대선 후보와 한명숙 전 대표의 의원직 사퇴를 촉구했다.
더불어 당직은 당원이, 공직후보는 국민이 선출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모바일투표 폐지도 주장했다. 친노진영의 결속력이 국민참여경선 결과를 왜곡한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친노를 중심으로 한 주류진영은 여전히 대선 패배는 민주당 전체의 책임이며 모바일투표는 수정'보완해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전당대회 시점과 차기 지도부 임기를 두고서도 양측의 대립은 지속되고 있다.
당초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취임 일성으로 했던 '조기 전대 개최' 약속과는 달리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이 '5월 전대론'에 무게를 두면서 비주류 측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친노 책임론이 희석될 우려가 크다는 이유다.
아울러 차기 지도부가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쥐느냐의 여부가 달린 지도부 임기 연장안을 두고서도 격론이 진행중이다.
유광준기자 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