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靑 비서실장 인선 지연…친박 고사?

인수위 "수석들과 함께 발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8일 1차 인선 발표에서 청와대 3실장 중 사령탑 격인 비서실장이 빠져 배경을 두고 해석이 분분하다.

애초 인사 검증을 이끌 비서실장 인선이 시급하다는 것이 새누리당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측의 판단이었다. 게다가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정부와 청와대를 이끌 국무총리와 비서실장이 한꺼번에 지명될 것이라는 예상이 중론이었다.

이 때문에 여권에선 "비서실장을 이날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막판에 문제가 생겨 빠진 게 아닌가"라는 소문이 확산되고 있다.

가장 설득력을 얻고 있는 설(說)은 비서실장에 '삼고초려'한 중진 의원들의 '고사'(固辭)가 이어졌다는 것이다. 박 당선인은 청와대 비서실장을 '비서형' 또는 '정무형' 중 어느 쪽으로 할지를 놓고 고민을 해왔다. 하지만 비서형이든 정무형이든, 박 당선인과 호흡이 잘 맞는 친박 인사가 기용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그래서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경산청도)과 권영세 전 의원, 최외출 영남대 교수, 유정복 새누리당 의원, 이정현 당선인 비서실 정무팀장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친박 인사들이 박 당선인의 연락에 난색을 표시하면서 일단 발표를 미룰 수밖에 없었다는 관측이 가장 우세하다. 한 여권 인사는 "중진 의원의 경우 청와대 비서실장이 되면 관례에 따라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여러모로 부담이 있을 수 있는 자리"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당선인 측 관계자는 "청와대 비서실장의 경우, 함께 일할 청와대 수석들과 한꺼번에 일괄적으로 발표한다는 내부 방침이 있었기 때문에 1차 인선에서 빠진 것"이라고 했다. 다른 인수위 측 관계자는 "최근 불거진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임박하면서 엄중한 안보 상황을 고려한 판단에서 발표를 미뤘을 뿐"이라고 말했다. 북핵실험 위협 속에서 안보를 최우선 과제로 챙기겠다는 의지를 보이기 위해 국가안보실장을 청와대 비서실장보다 먼저 발표했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박 당선인이 '국정의 중심은 내각'이라는 인식에서 청와대를 후순위로 미룬 것이 이번 1차 인선 발표에서 비서실장을 지명하지 않은 이유라는 분석도 있다. 청와대 비서실에 쏠렸던 과도한 정치적 힘을 빼는 차원에서 비서실장 인선을 첫 순서에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박 당선인 주변이나 인수위 측에서도 박 당선인이 비서실장에 지명할 인사를 미리 확보해뒀는지에 대해선 "모른다"고 답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