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날이 잦다는 지적(본지 3월 26일 자 1면 보도)과 관련 지역적인 대기오염 특성을 반영할 수 없는 대구시 미세먼지 경보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0곳 평균해 계산→지역 간 오염도 불균형 반영 못 해
전문가들은 대구시가 2011년 7월부터 추진하고 있는 미세먼지 경보제 발령기준이 10곳을 평균해 계산하기 때문에 지역 간 오염도 불균형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지난달 19일 오후 11시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 때 측정소 10곳의 평균이 204㎍/㎥였다. 하지만, 노원동은 295㎍/㎥이지만 신암동은 113㎍/㎥에 그쳐 182㎍/㎥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노원동은 1시간 전인 이날 오후 10시 279㎍/㎥에서 상승했지만 같은 시간 신암동은 오히려 125㎍/㎥에서 줄어든 수치였다.
20일 오후 2시 주의보 해제 때 역시 평균은 100㎍/㎥이지만 노원동은 138㎍/㎥이었고 수창동과 갈산동은 각각 70㎍/㎥이어서 68㎍/㎥의 격차가 났다.
대구지역을 하나로 묶어 경보제를 발령하기 때문에 기준에 못 미치는 곳도 경보발령에 따라 외출과 야외 수업자제 등의 권고를 따라야 하지만 경보발령이 없는 상태에선 기준을 넘은 곳도 아무런 조치가 내려지지 않는다.
영남대 백성옥 교수(환경공학과)는 "대기오염을 측정할 때 여러 구역의 수치를 평균해 내리는 것은 의미가 낮다. 대구시를 하나의 광역으로 평균한 수치는 오염물질 원인 시설과 물질이 많이 배치된 특정지역의 오염도를 전혀 반영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대기 오염은 평균치가 아니라 가장 오염이 심한 수치를 표준으로 제시한 뒤 지역 특화된 오염 저감 대책을 마련해야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민의 인체 위해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도로변 측정소 2곳 수치 경보제에 미반영
대구시가 현재 도로변 대기 측정소 2곳의 수치를 미세먼지 경보제에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것도 문제다. 건물 옥상 등 지상에서 떨어진 곳에 설치된 도시대기 측정소보다 지상 3m 정도 높이 설치된 도로변 대기 측정소의 수치가 실제 시민들의 생활에 더 밀접한 수치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도로변 대기를 측정하는 서구 평리동의 평리동 측정소(대평중학교)의 경우 최근 3개월(91일) 동안 32일이나 기준치(24시간 100㎍/㎥)를 초과했다. 그 중 최고수치가 192㎍/㎥에 이르고 기준 초과 수치들의 평균이 139㎍/㎥이나 된다. 이는 같은 기간 가장 오염이 심했던 도시대기 측정망인 노원동 측정소보다 더 심각한 경우이지만 정작 미세먼지 경보제엔 포함되지 않았다.
대구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도로변 대기 측정소가 도로변이라는 특정 지역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됐기 때문에 도시대기 오염도를 기준으로 하는 미세먼지 경보제에 적용하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구시 환경관리과 관계자는 "권역을 나눠 경보제를 운영할 경우 시민 행동요령과 미세먼지 저감대책 등을 실행하는 데 효율성과 신속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며 "앞으로 지역별로 미세먼지 수치가 왜 다른지 산업시설 분포와 인구집중도, 차량 통행량 등을 정확히 분석해 경보제 적용 권역을 세분화할 수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서광호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