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새 정부의 경제성장 기조인 창조경제의 개념을 놓고 논란이 계속되자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나섰다.
박 대통령은 3일 기획재정부'금융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새 정부가 추구하는 창조경제는 과감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지금은 상상력과 창의력이 곧 경쟁력이 되는 시대"라며 "창의성을 경제의 핵심 가치로 두고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통해 산업과 산업이 융합하고, 산업과 문화가 융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창조경제'라는 말은 지난해 9월 대구를 방문한 박 대통령이 "대구경북의 발전을 위해 창조경제가 필요하다"며 처음 쓰기 시작했다. 성장'일자리 정책의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스마트 뉴딜'의 한국식 표현이다.
덕분에 요즘은 경제와 관련없는 부처도 대통령 업무보고에 '창조'란 말이 여기저기 붙고 있을 정도다. 국방부가 '창조경제 핵심 동력을 위해 신무기에 투자하겠다'거나, 통일부가 '개성공단에 투자설명회를 열어 창조경제에 기여하겠다'는 업무보고를 올리는 등 창조경제는 개념이 모호한 상태에서 유행어처럼 쓰이고 있다.
하지만 '창조경제'의 개념을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박 대통령 외에는 없었다. 이렇다 보니 지난달 30일 당'정'청 워크숍에서는 한선교 의원이 유민봉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에게 "도대체 창조경제가 무슨 말이냐"며 몰아세웠고, 1일 열린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도 같은 상황은 반복됐다. '창조경제'를 묻는 여야 의원들의 질문에 "기술 추격형 경제를 선도형 경제로 바꾸는 것"이라고 답변한 최 후보자에 대해 민주통합당 노웅래 의원은 "장관 후보자가 창조경제에 대해 모호하게 대답하는 것을 보니 제대로 (미래부를) 운용할지 의심스럽다"고 하기도 했다.
이지현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