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립대학교(총장 김용대)가 신 도청시대 중심 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경북도립대는 22일 대학 회의실에서 경북도립대 중장기 발전계획(Vision 1515) 연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중장기 발전계획은 개교 15년이 지난 시점에서 지난 역사를 되돌아보고 신 도청시대를 맞아 미래 15년을 준비하기 위해 마련됐다.
경북도립대는 1997년 정원 360명으로 개교한 이래 학령인구의 급감, 수도권 집중화 현상의 심화 등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대내외 환경 악화로 2004년에는 신입생 충원율 36%라는 최악의 시련을 겪기도 했다.
하지만 2009년 제5대 김용대 총장 취임 이후 대학은 빠르게 활력을 되찾고 있다.
2011년 6월 5일 자 대학신문이 전국 146개 전문대학 순위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경북도립대는 2007년 70위권에서 2011년 41위로 순위가 뛰어올랐으며, 재학생 수도 2009년 600여 명에서 2013년 1천3명으로 40% 증가했다.
또 5년 연속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된 것을 비롯해 고용노동부 청년취업 진로사업 우수 평가, 2011년 전문대학 기관평가에서 교육품질인증 대학 선정 등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경북도립대는 이번 발전계획을 통해 대학체제 개편, 학과 구조조정 등 대학 전반에 대한 조직 진단으로, 미래 15년을 준비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신 도청시대에 대비해 4년제 대학 전환을 비롯한 국립대학과의 통합 가능성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주요 방향은 외부환경 분석 및 내부역량 진단, 중장기 발전방향 설정 등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새 정부의 교육정책 방향 분석, 입학자원 및 산업인력 수요분석, 입학자원 현황과 교육인프라 분석, 학과 구조조정 등을 제시했다.
김용대 총장은 "이번 중장기발전계획 연구용역으로 신 도청 시대 중심대학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새로운 청사진을 가지게 될 것이며, 300만 도민에게 사랑받는 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예천'권오석기자 stone5@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3500억 달러 선불 지급, 외환부족 우려에…美 "달러 대신 원화로 투자"
[단독] 中 건보료 55억원 흑자? 6조원 받아갔다
AI 시대 에너지 중요한데…'탈원전 2막' 가동, 에너지 대란 오나
대법원 휘저으며 '쇼츠' 찍어 후원계좌 홍보…이러려고 현장검증?
대법정 법대 오른 범여권 의원들, 주진우 "사법부 짓밟는 상징적 장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