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달인 5월을 맞아 서울에 계신 아버님 어머님댁을 방문하기 위해 오랜만에 지하철을 탔다. 오늘은 지하철에서 경험한 한 일화를 소개할까 한다. 서울은 자주 찾았지만 학회나 아들 부부를 만나러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대중교통을 이용할 일은 흔치 않았는데 오랜만에 서울에서 지하철을 타게 됐다. 만원이 된 지하철을 힘겹게 탄 뒤 좌석 앞에 서 있었더니 앉아있던 한 젊은 여성이 자리를 양보하겠다며 자리에서 일어나려고 했다. 바로 그 순간이었다.
그 여성은 갑자기 현기증이 났던지 일어나려다가 갑자기 내 앞으로 털썩 주저앉아 버렸다. 당황한 나는 얼떨결에 그 친구를 부축하게 됐고 급히 다음 정거장에 같이 내려 벤치로 안내해 주었다. 다행히 그 친구는 금세 회복이 됐는지 연거푸 죄송하다는 말을 남긴 채 그 자리를 떴다.
처음엔 그 친구의 증상이 빈혈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대구에 와서 주변 의사 동료에게 물어본 결과 이런 증상이 '기립성 저혈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시간 서 있거나 누워 있는 경우 혹은 앉아 있다가 갑자기 일어나는 경우처럼 자세를 바꿀 때 혈액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하반신에 모이게 된다. 그러면 자연스레 심장으로 들어가는 혈액량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인체 내의 신경반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서 일정한 혈압이 유지된다.
하지만 저혈압이 있는 사람은 혈관 내 압력이 낮아져 뇌나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줄면서 현기증, 시력장애, 구역질 등의 증상을 보이고, 심지어 때로는 실신하기도 한다. 특히 운동량과 잠이 부족한 젊은이들에게 비슷한 증상이 많다고 한다.
기립성 저혈압은 그 자체로는 결코 큰 위험이 있는 질병은 아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순간적으로 넘어지면서 입을 수 있는 2차적인 외상이다. 의식을 잃으면서 머리를 부딪치거나 낙상하게 되면 큰 골절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항시 조심해야 한다. 즉, 누웠다 일어날 때 몸을 천천히 움직이거나 미네랄과 비타민이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고 하루 적정량의 염분과 물을 섭취하는 것과 같이 간단한 일상적인 노력으로도 많은 부분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여전히 그 친구가 일어나던 중 어지러움을 느꼈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이를 기립성 저혈압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또한 그 친구가 이 글을 읽을 확률도 거의 전무하다. 그래도 그 친구가 나와 같은 중년세대들을 위해 기꺼이 자리를 양보까지 하면서 겪은 일이기에 작게나마 그 친구와 비슷한 증상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글이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
이희경 영남대병원 치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