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 사이에 섬이 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정현종 시인의 '섬'이라는 시다. 너무나 유명한 시라서 굳이 설명할 필요는 없지만 현대인의 소외감과 군중 속의 외로움을 가장 짧은 단어로 표현한 명작이다. 개인 간 방치되고 있는 이 외로운 섬이 우리 조직 사이에서도 존재하는 것 같다. 나는 조직 간에 방치되고 있는 이 섬은 방, 칸막이 같은 소통의 장애물들이라고 생각한다. 즉 조직과 조직 사이에 존재하는 방과 칸막이가 또 하나의 섬이란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유달리 '방' 문화를 좋아하는 걸까? 노래방, 소주방, 비디오방, PC방 등 뜨는 아이템에는 '○○방'이라는 업종으로 한동안 유행해왔다.
조직 생활에서도 사람들은 방을 좋아하는데 조직 생활에서의 방의 의미는 승진의 대가이며 자신의 입지를 보여주는 함축적인 공간이다. 그리고 자기만의 방 문화를 즐길 수 없는 평직원이라면 방 대신에 칸막이에 의존하게 되는데 높은 칸막이 속에 파묻히는 것이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고의 근무 조건이다.
이러한 방 중심의 문화와 높은 칸막이가 의미하는 것은 상대방을 신뢰하지 못하는 불신의 상징이며 본능적인 소통의 귀찮음일 것이다. 윗사람은 아랫사람을 신뢰하지 못하기 때문에 더 많이 간섭하려 하고, 아랫사람은 이러한 간섭이 본능적으로 싫기 때문에 더 높은 칸막이를 쌓으려고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대방에 대한 배려 없이 조직 간의 위계구조만을 강조하고 전문성보다는 조직 관성을 신뢰하는 업무 스타일이 상대방으로 하여금 소통을 단절시키는 칸막이를 쌓게 만든다. 누구나 의사소통이 안 되는 벽 앞에 서면 자기 보호를 위해서 벽을 쌓을 수밖에 없다.
새 정부 들어와서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라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다. 지식융합, 창조경제로 대표되는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이 반영된 당연한 지시라고 생각되는데 이러한 칸막이를 없애기 위한 노력이 눈에 보이는 것만 치중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서로가 시너지 효과를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이나 정보를 공유하려는 열린 마음 자세보다는 칸막이 그 존재 자체에 집착하는 것 같다.
대구시는 지형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경상북도에 안에 있으면서 주변에는 구미, 포항 등 대표 산업도시들이 즐비해 있다. 지역별로는 우리나라 최고의 우수 농산물을 생산하는 많은 군, 면이 펼쳐져 있다. 이 얘기는 대구와 경북은 서로 소통을 통해서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우리 주변에서 그만큼 쉽게 찾아볼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그러나 대구의 경쟁도시들은 서비스, 제조 산업을 융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 협력의 틀을 만들고 있는데 과연 우리(대구, 경북)도 그렇게 하고 있는지 한 번쯤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때가 온 것 같다. 대구와 경북이 서울과 같은 인프라의 일자리 수준을 갖출 수는 없지만 둘이서 지역별로 특화되어 있는 성장 잠재력을 모을 수 있다면 더 큰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대구와 경북이 수출입 물품을 품목별, 국가별로 구분해 가능한 영일만으로 집중한다면 영일만 활성화는 물론 새로운 선박의 '영일만-특정 국가 직항로' 개설 효과까지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바로 이런 것들은 섬을 없애고 소통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들이다. 2013년 하반기 이후 대구경북은 여러 국제행사를 앞두고 있다. 소통을 통해서 만들어진 융합지식은 다양한 사람을 이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국제행사일수록 더 많은 소통이 필요하다.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행사를 위해서 의견을 표현하고 이러한 의견들이 반영될 수 있는 소통의 장이 필요한 것이다.
그동안 대구시와 달빛동맹을 맺은 광주시조차 엑스코에서 조만간 개최 예정인 'DA-FOOD'에 광주식품(음식)을 가지고 와 대구식품(음식)과 실질적인 소통을 하려 한다. 이러하거늘 지금 이 시점이야말로 대구와 경북이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가야 할 때가 아닐까? 대구와 경북은 한 우물을 마시다가 언젠가 행정편의로 구분되었을 뿐인데 대구에 와 산 지 2년밖에 안 된 내 눈에는 어느새 많은 섬이 생겨난 듯 보인다. 들리는 소문에는 도청 공사가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전 스케줄에 맞춘다는 차원에서 일부 기능이라도 내년에 꼭 보낼 거란다. 도청 이전으로 인해 대구'경북 사이에 더 많은 섬이 생기기 전에 소통을 위한 TF라도 만들었으면 좋겠다.
박종만/엑스코 사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