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 회의록을 전격 공개한 24일 국회정보위원장실에서 만난 서상기 정보위원장(새누리당.대구북을) 은 최근 잠을 못 잔 듯했다. 서 위원장은 "지난 1년 동안 인터뷰한 것 보다 최근 1주일 새 언론에 인터뷰한 횟수가 더 많은 것 같다"면서 "하지만 지난 대선 때부터 주장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의혹이 사실로 드러나 이젠 발 뻗고 잠을 잘 수 있을 것" 이라고 했다.
민주당이 국정원의 회의록 공개는 '위법' 이라며 반발하고 있는 것에 대해 그는 "민주당 입장은 늘 그래 왔기 때문에 큰 신경을 쓰지 않는다"면서 "김한길 대표와 문재인 위원 등이 주장하는 '선 국정조사, 후 공개' 나 '대통령기록물인 원본(原本) 공개는 어떻게 보면 공개하지 말자는 것과 같다"고 일축했다.
서 위원장은 또 "야당에선 대화록이 대통령기록물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대통령기록물이 아니라는 것은 이미 검찰에서 판명이 났다"면서 "생산 주체, 관리 주제 모두가 국정원이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공공 기록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대화록이 처음 국정원에 간 것은 노무현 정부때이지 그 이후 정부 때가 아니다"며 "대통령기록물 운운하는건 결국은 시간을 끌고 절차를 복잡하게 하려는 '꼼수' 정도로밖에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향후 논란이 될 국정원의 남북 정상회담 희외록 공개 적법성에 대해 '적법하다'고 강조한 것이다.
서 위원장은 "언론에 공개된 원본을 보면 문맥상 전체 흐름을 보고 많은 국민이 배신감과 굴욕감을 느낄 것"이라며 "이제 다 공개가 됐으니 판단은 현명한 국민에게 맡겨야 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너무 일찍 패를 깐 것이 아니냐' 앞으로 적법성 등 야권의 강한 공세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있다고 하자 그는 "충분히 예상했으며, 당 차원에서 적절하게 대응 전략을 짜고 있다"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