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에 퇴적된 토사를 준설해 홍수를 예방하고, 자연경관 보호와 예산을 아껴 수익까지 얻는 1석 3조의 효과를 거뒀습니다."
성주군은 지난해 태풍 '산바' 때 성주읍 시가지 침수의 원인으로 작용했던 이천과 백천, 대가천 등 주요 하천을 정비했다. 이 과정에서 82만여㎥의 토사를 준설해 물 흐름을 개선하는 등 완벽한 홍수대책을 마무리했다.
군은 성주읍 시가지를 관통하는 이천과 백천 일대 사업비 10억원을 들여 11.5㎞의 하천을 정비하고 퇴적된 토사 13만8천㎥를 준설했다. 금수면 무학리 일대 대가천에도 3억6천만원을 들여 하천 1.5㎞ 구간을 정비하고 토사 8만4천㎥를 걷어냈다.
또 가천면 창천'화죽리와 수륜면 신정'남은리 일대의 45만㎥의 토사는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시행하고 있는 고령~성주간 4차로 확'포장공사 구간에 성토재로 사용토록 해 준설사업에 소요되는 예산을 절감했다. 당초 부산국토관리청은 도로공사용 성토재로 가천면 금봉리 일대 야산에 대해 토석채취허가를 신청했으나 하천 준설토를 대신 사용토록 권유해 자연경관 훼손을 방지하면서 30억원의 준설예산을 절감할 수 있게 된 것. 특히 이천과 대가천 일부 하천에서 걷어낸 품질이 우수한 모래 13만여㎥는 골재 품귀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업계에 공급할 예정이라 자재난을 해소 시켜 주면서 10억여원의 수익도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항곤 성주군수는 "지속적인 하천준설사업을 통해 자연경관도 보존하면서 군 세수도 올리고 물 흐름을 개선해 농경지와 가옥의 침수를 예방하는 등 주민들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성주'정창구기자 jungc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