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청와대 2기 참모진, 미래지향적이길

진격하듯이 5일 전격 발표한 박근혜 대통령의 제2기 청와대 비서실 인사는 가장 중요한 취임 초기 골든타임에 성과와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 1기 참모진 5명에 대한 문책성 인사인 동시에 더 늦기 전에 청와대 인사 쇄신을 통해 국정에 탄력을 붙이겠다는 결의의 표현으로 읽힌다. 정치권의 요구나 여론몰이에 휘둘린 인사가 아니라, 조용히 두고 보면서 적임자가 아니면 언제라도 교체하고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면 국정 운영의 동반자로 함께하지 않겠다는 냉정한 입장 표명이자 단호한 의지의 구현이다.

은밀하게 준비하여 전격적으로 터뜨린 제2기 청와대 비서진은 박근혜 대통령의 심중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74'전 법무부장관)을 포함하여 박준우 정무수석(전 벨기에'유럽연합 주재 대사), 홍경식 민정수석(전 법무연수원장), 윤창번 미래전략수석(전 하나로텔레콤 대표), 최원영 고용복지수석(전 보건복지부 차관)으로 구성됐다. 김기춘 비서실장의 경륜과 카리스마, 홍경식 민정수석의 법조계 위상이 지닌 파워, 최원영 고용복지수석의 전문성이 산적한 현안 해결에 힘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비록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을 천거할 만큼 안목을 지녔다고는 하지만 박준우 정무수석이 여론 수렴과 소통 임무를 얼마나 잘 수행할지, 윤창번 미래전략수석이 정부 조직 출범 5개월 만에 존재감마저 사라지고 있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어떻게 손잡고 창조경제의 불씨를 살려낼지도 주목받는 사안이다.

무엇보다 과거 공작 정치와 지역감정을 동원한 장본인으로 '과거로의 회귀'라는 질책을 받고 있는 김기춘 비서실장이 예스맨으로만 기능하면 이번 인사는 불행으로 끝날 것이다. 김 실장이 박 대통령과 가까운 만큼 흉허물 없이 직언을 전달해야 하며, 과거와 단절하고 미래를 향한 보좌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