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빈번한 결핵 집단 감염, 보건 당국은 뭐 하나

대구의 한 고교에서 올해 1학기에 학생 100여 명이 결핵에 감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3월 첫 결핵 환자 발생 이후 재학생 1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에서 확진 판정 17명, 잠복 결핵 160명 등 177명이 감염된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최근 몇 년 새 집단 결핵 감염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에서 보건 당국의 느슨한 결핵 관리에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신고된 결핵 환자 수는 5만 491명이다. 법정 감염병 가운데 발생'사망률이 가장 높고 OECD 가입국 중 한국이 15년째 결핵 환자 발생'사망률 1위를 차지하는 등 불명예를 안고 있다. 매년 인구 10만 명당 7명에 이르는 결핵 사망률은 중국과 비슷한 수준이고 일본의 4배, 미국의 22배라는 점에서 부끄러운 일이다.

정부가 '결핵 조기 퇴치 2020 플랜'을 수립해 결핵 종합 관리에 나서고 있으나 상황이 나빠지고 있는 것은 예방'치료 등 관리에 허점이 있다는 방증이다. 특히 외국인 증가에 따른 결핵 환자 신고와 관리에 허점은 없는지 철저히 확인해야 한다. 최근 10년 새 중국과 필리핀, 베트남 등 외국인 신고 결핵 환자 수가 약 8배 증가했다는 점에서 입국 시 철저한 감염 확인과 관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서구 국가들은 장기 체류 비자 신청 시 결핵 관련 진단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는데도 우리는 E-9 비자를 제외한 장기 체류자에 대해 결핵 보균과 감염 확인을 하지 않는 것은 문제다.

결핵은 조기에 감염을 파악해 6개월가량 꾸준히 치료하면 나을 수 있는 질병이다. 그러려면 철저한 개인위생과 조기 감염 확인, 신고율 제고와 격리 치료 등 예방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지금처럼 결핵 관리 시스템에 구멍이 뚫려 있는 한 2017년까지 감염병 발생을 크게 낮추겠다는 정부 계획은 헛구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