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 고비 넘긴 블랙아웃, 9월까지는 안심못한다

2011년 9·15 순환단전 이후 사상 최악이 될 것으로 우려된 전력위기 상황이 국민과 산업계의 절전 노력 속에 무사하게 넘어갔다.

전력당국은 9월 중순까지 늦더위가 계속되면서 다시 위기가 닥칠 가능성이 있다며 지속적인 절전을 당부했다.

유례없는 폭염 속에 비상대책 전 최대전력수요가 사상 최대인 8천만㎾를 돌파할것으로 예상된 12∼14일 사흘간에는 민방위 사이렌을 울려야 하는 전력수급경보 '경계'(예비력 100만∼200만㎾) 단계까지 예보됐으나 실제로는 경보 1단계인 '준비'(예비력 400만∼500만㎾)만 발령됐을 뿐 더는 심각한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전력거래소는 14일 오후 3시 피크시간대의 수급대책 시행 후 기준 공급능력이 7천753만㎾, 최대전력수요가 7천245만㎾로 예비력 508만㎾(예비율 7.0%)를 유지했다고 발표했다.

이날 오후 1시 42분 냉방수요가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순시예비력이 450만㎾ 아래로 떨어져 준비 단계 경보가 발령됐으나 이후에는 절전규제 등이 시행되면서 500만㎾대를 회복했다. 경보는 오후 5시 30분 해제됐다. 이날도 비상수급 대책 전에는 최대수요 7천802만㎾, 공급력 7천749만㎾로 예비력 마이너스 53만㎾를 기록하는 상황이었다.

전력당국은 이날 절전규제(300만㎾), 산업체 조업조정(151만㎾), 주간예고 수요관리(96만㎾), 선택형 피크요금제(10만㎾) 등으로 총 557만㎾의 수요를 감축했다.

전력거래소는 12∼14일 사흘간 날짜가 지날수록 전력수급이 차츰 안정적으로 변했다고 설명했다. 12일에는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가 극에 달했지만 13,14일에는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아진 것도 냉방수요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줬다.

전력거래소 조종만 중앙전력관제센터장은 "무엇보다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대한민국 국민의 힘으로 전력위기를 이겨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상청 장기예보에 따르면 9월 중순까지 늦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전력위기가 다시 닥칠 가능성이 있다고 전력당국은 내다봤다.

김봄이기자'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