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난으로 온 나라가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시민이 참여하는 소규모 태양광발전시설인 '시민햇빛발전소'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대구시는 '시민햇빛발전소' 건립에 대한 지원이 소홀하다.
◆개인이 전기를 생산하는 시대
재생에너지 강국 독일은 일반 시민들이 곳곳에 소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고 있다. 프라이부르크에는 '태양에너지 시민조합'이 있다. 2006년 130명이 뭉쳐 설립한 태양에너지 시민조합은 총 589㎾의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했다. 발전소 공간은 지역 관공서가 제공했다. 2010년 말 기준으로 독일에 설치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시설 53GW(원자력발전소 53기 분량)의 51%가 일반 시민이나 농부들이 설치할 만큼 독일은 시민들의 참여가 일반화돼 있다.
서울시는 원전 1기의 전력발전량을 시민의 힘으로 해결하자는 '원전 1기 줄이기 캠페인'을 대대적으로 실시하면서 시민햇빛발전소와 미니태양광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특히 짧은 일조시간과 높은 임대료 등에 막혀 소규모 태양광발전시설 설치가 어려움을 겪자 소형 햇빛발전시설에서 1㎾h를 생산할 때마다 50원씩 5년간 보조금을 지원하는 '서울형 발전차액 지원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또 아파트 발코니에도 '미니 태양광발전시설'을 도입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원 인색
전력난의 핵심은 피크시간대(오후 2~5시)에 전력이 모자라는 데 있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곳곳에 소규모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해 분산형 전력시스템을 갖추면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보고 있다.
계명대 지구환경학과 김해동 교수는 "각 지자체는 전기공급 부족분을 짧은 시간에 메우기 위해 시민햇빛발전소 같은 소규모 태양광 시설을 많이 설치하고, 부지 선정이나 재정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솔라시티를 지향하고 있는 대구시는 다른 시도에 비해 관심과 지원이 약하다. 최근 시가 성서산업단지 내 공장 지붕 등 유휴 공간을 활용해 태양광을 설치하거나 낙동강 하빈에 대규모 태양광 설치를 추진하는 등 대기업이 주도하는 대규모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맑고푸른대구21 오영석 사무처장은 "시민햇빛발전소는 시민들 스스로 에너지 자립 인식을 확산시킬 수 있는 등 장점이 많다"며 "이에 대한 홍보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교수 또한 "서울시는 공공기관과 양해각서를 체결해 시민들이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행정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대구는 시민햇빛발전소를 짓기에 적합한 만큼 시의 정책지원이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에는 지난 2008년 수성못 상단공원 1호기, 두산동 주민센터 2호기 등 대구시민햇빛발전소 2기가 운영 중이지만 이후 시민햇빛발전소는 확대되지 않고 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