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과거 외면 일본, 국제 연대로 반성하게 해야

박근혜 대통령은 8·15 경축사에서 과거에 대한 반성 없이 우경화와 교전국 지위 확보를 향해 여론몰이하고 있는 일본 아베 총리에 대해 절제된 경고문을 날렸다. 과거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하고 짓밟은 것도 모자라 대한민국 영토인 독도마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데 대해 어떤 국민도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연한 시각이다.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도 요구한 박 대통령은 양국이 손잡고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만들어 가기를 염원하는 국민 마음을 정치가 따르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새로운 미래를 향해 과거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용기 있는 리더십을 일본 정치인들이 지녀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의 정당한 요구가 일본 사회에 씨알이나 먹힐지는 의문이다. 당장 아베 총리는 과거 침략 행위에 대한 반성은커녕 객관적인 사실에 대한 언급조차 피하고 있다.

패전 68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 주최로 열린 전국 전몰자 추도식에서 아베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가해와 반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처음 있는 일이다. 3·11 쓰나미와 계속된 경기 침체에 이은 일본 사회의 우경화 붐을 우려하는 국제사회의 기류를 번연히 알면서도 회피했다. 일본인들의 속내에 침략 근성이 숨어 있는 것은 아닌지, 평화를 사랑하는 보통 국가로 자리매김하려는 시도가 과연 정당한지 의문이다. 과거에 대한 반성이 없자, 일본 언론도 질타했다.

대한민국은 일본이 진정으로 침략사를 반성하도록 국제 외교전을 펼쳐야 한다. 같은 패전국이면서도 종전 이후 지금까지 잘못된 과거에 대한 반성과 사과의 입장을 일관되게 보이고 있는 독일처럼 일본이 변모하도록 국제사회와 연대하고 그 연대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