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신문사 기자라면서 공사 현장에 찾아와 마구잡이로 사진을 찍고는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 이를 기사화하겠다'고 협박하기에 울며 겨자 먹기로 신문과 책을 팔아주고, 원하는 대로 다 해줬습니다. 꼬투리를 잡아 금품을 뜯어가는 행태는 전형적인 사이비 기자였습니다. 칼만 안 들었지 강도와 뭐가 다를 게 있습니까?"
건설 현장 관계자의 한숨 섞인 말이다. 최근 중소도시인 영주지역에 100명이 넘는 언론사 기자들이 활동하면서 일부 기자들로부터 피해를 입은 시민과 공무원, 기업인 등의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기자들의 횡포가 도를 넘고 있다. 비산먼지 등 오염물질을 배출했다고 환경 당국에 고발했다 금품 등 요구가 충족되면 버젓이 고소장을 취하하고 언제 그랬느냐는 식으로 돌아선다. 취재 현장에서 횡포를 부리다 오히려 폭행당했다고 경찰에 고발하고, 보도자료 써 주고 홈페이지에 게재하면 저작권법 위반이라고 협박한 뒤 신문과 책을 강매하고 광고를 수주하는 사례도 다반사다.
특히 지역축제 광고를 거절했다가 수십 명으로부터 자료공개를 요구당하는 공무원들과 축제 관계자들도 견디기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이런저런 꼬투리를 잡아 괴롭히기 때문이다. 시장'부시장'의회 의장 판공비 정보공개 신청은 합법적인 권리이지만 이 정보공개 신청이 취재 보도용이 아니고, 일부 사이비 기자들의 공갈과 갈취의 수단이 되고 있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기자가 부끄러운 실례를 늘어놓는 이유는 영주 지역에 공갈, 갈취를 일삼는 일부 사이비 기자의 횡포가 심해지면서 그 피해가 고스란히 시민들에게 전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의 일부 기자는 "내가 해 먹었는데 (비판) 기사를 썼다. 언론의 도리를 모른다"고 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있다. 언론사의 난립은 주민의 알권리와 표현의 자유를 확대한다는 취지에서 본다면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일부 기자들이 벌이는 작금의 실태는 긍정적 측면을 무색게 하고 있다.
어느 언론학자는 불량한 기자는 잡초와 같아서 뽑아내도 또다시 자라는 만큼 시작부터 발 디딜 여지를 주지 않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했다. 더 이상 사이비 기자들로 인해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