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주목 이책!] 식탁 위의 한국사

식탁 위의 한국사/ 주영하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한식(韓食)은 한국을 상징하는 문화유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과연 한국 음식은 조선시대부터 변함없이 이어온 문화유산일까? 이에 음식인문학자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음식을 역사로 만들고 역사를 정답으로 여기는 사회적 풍토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한국 음식의 원형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 중요한 것은 '한국 사람은 무엇을 어떻게 먹어왔는가'라는 질문이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설렁탕, 갈비, 신선로, 빈대떡, 짜장면 등 근대 외식업을 주도한 34가지 음식 메뉴의 기원과 변화를 미시적으로 다룸과 동시에 정치'경제'사회'문화적 변동과 같은 거시적 담론 분석을 통해 '비판적 음식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저자는 20세기 한국 음식사를 5개 분기점으로 나눠 서술하고 있다. 한국 음식사에서 첫 번째 분기점은 강화도조약을 계기로 서양'중국'일본인이 대거 유입된 1880년부터 1900년까지로, 서로 다른 음식문화가 본격적으로 국경을 넘어 한반도의 음식 생산과 소비 문화를 변화시켰다. 두 번째 분기점은 1890년대 이후부터 1940년까지로, 이때 조선요리옥과 선술집, 대폿집 등 근대적 외식공간이 본격적으로 탄생했으며, 수많은 조선 음식이 식당의 '메뉴'로 변모한다. 세 번째 분기점은 한국전쟁 발발 시기로, 남북의 인구가 이동하면서 특정 지역의 음식이 다른 지역에 빠른 속도로 전파됐다. 네 번째 분기점인 196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는 급격한 이농과 도시화로 타지에서의 향수를 달래기 위한 고향음식들이 도시의 음식점에서 크게 유행했다. 마지막으로 1990년대는 본격적인 세계화를 맞는 시기로, 배달 음식과 값싼 음식, 다국적 음식이 유행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572쪽, 2만9천원.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