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들이 주택담보대출에 따른 이자부담을 줄이기 위해 갖가지 지혜를 짜내고 있다. 예측가능성이 높은 고정금리상품을 마다하고 좀 더 낮은 금리를 적용받기 위해 변동금리형상품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상품이 차지하는 비중이 2년여 만에 처음으로 줄었다. 이는 정부가 서민금융안정을 위해 고정금리대출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나타난 상황이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현재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잔액 기준)은 23.0%로 6월 말 23.2%보다 0.2%포인트(p) 떨어졌다. 고정금리대출 비중이 낮아진 것은 2011년 5월 이후 26개월 만에 처음이다.
고정금리대출 비중은 지난해 1월까지만 해도 9.5%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고정금리대출 확대 정책을 밀어붙여 1년 만인 올해 1월 20.7%로 늘어났다.
금융당국은 시장 상황이 변해도 서민층의 이자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나지 않도록 고정금리형 대출과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을 2016년까지 전체의 3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복안이다.
하지만 최근 고정금리상품보다 변동금리형 대출이 더 유리한 상황이 벌어지면서 금융소비자들이 다시 변동금리형 대출에 눈을 돌리고 있다.
고정금리상품의 이자기준이 되는 5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6개월 전인 지난 3월 28일 2.51%에서 이달 17일 3.15%로 0.74%p 오르는 동안 변동금리 가계대출의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코픽스는 3월 15일(2월 코픽스) 3.38%(잔액 기준)와 2.93%(신규취급액 기준)에서 이달 16일(8월 코픽스) 각각 3.02%, 2.62%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초 집을 구입하면서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던 김성철(42) 씨는 "상환계획을 꼼꼼하게 짤 수 있는 고정금리상품이 편하긴 하지만 한 푼이 아쉬운 상황이라 변동금리 상품의 금리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대출상품을 갈아타는 비용까지 감안한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코픽스 금리가 바닥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는 변동금리가, 장기적으로는 고정금리가 유리해 보인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한편 금융권에선 3∼5년간 고정금리를 적용받은 이후 변동금리로 이자를 내는 혼합형 상품을 추천하고 있다.
유광준기자jun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