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성'이 흥행에 실패하자 이준익 감독은 더 이상 상업영화를 만들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왕의 남자'로 1천23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한 그가 상업영화를 만들지 않겠다고 한 선언은 충격이었다. '황산벌' '라디오스타' ' 즐거운 인생' '님은 먼 곳에' 등 그가 만든 영화는 그의 인장이 선명하게 찍혀 있는 영화들이다. 하층 서민들이 처한 상황, 그것도 두 남자나 여러 남자에게 닥친 인생의 어려움을 매우 사실적이면서 감화적으로 그려 관객과 동일시해 내었다. '소원'에서 이준익 감독은 여전히 하층민의 애잔하고 진솔한 삶에 카메라를 들이대었다. 그런데 이번 소재는 좀 다르다. 아동 성폭행. 영화로 만들기 결코 쉽지 않은 소재. 이준익 감독은 "만들지 않으면 죽을 것 같은 이야기가 있을 때 다시 돌아오겠다"고 했는데, 이 이야기를 통해 거대한 상처를 입은 인물과 가족이 어떻게 그 고통을 극복해 나가는지, 피해자의 희망 찾기에 초점을 맞추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