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삼성물산, 건설업계 창조경제 선도한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변화·혁신…시장·사업, 다각화 8월 해외수주 100억$ 넘어

삼성물산이 국내외 건설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서울의 삼성물산 본사 사옥. 매일신문 DB
삼성물산이 국내외 건설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서울의 삼성물산 본사 사옥. 매일신문 DB

국내외 건설업의 장기 불황으로 한국 건설업체들이 달라지고 있다. 국내 공공발주 물량의 급감과 해외 정유화학 플랜트를 중심으로 한 경쟁 심화와 수익성 악화 등 삼중고를 겪으면서 생존을 위한 근본적인 변신이 이뤄지고 있다.

단순히 건설(Construction)만을 넘어서 엔지니어링(Engineering)과 조달(Procurement)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고 나아가 사전타당성 검토(F/S)에서 관리운영(O&M)까지 가치 체인을 확장하고 있다. 여기에 건설뿐만 아니라 IT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융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고 중동과 동남아 등에 편중된 시장을 다각화하려는 노력도 동시에 이뤄지고 있다.

이 같은 건설업의 변화와 혁신은 삼성물산이 주도하고 있다. 2009년 삼성물산의 연간 해외수주는 15억 7천만 달러에 불과했지만 올 8월 현재 삼성물산은 7월 말 총 19억7000만달러에 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Riyadh Metro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총 해외수주가 100억 달러를 넘었다. 이는 우리나라 건설사가 지난 7월까지 수주한 전체 해외수주액의 30%에 해당한다.

이밖에 삼성물산은 영국 Mersey gateway 프로젝트, 터키 키리칼레 민자발전, 터키 가즈엔텝 헬스케어 등에서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면서 올해 안에 계약이 진행될 예정이어서 연간 최고 해외수주 기록을 새롭게 경신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2010년 정연주 부회장 취임 이후 '글로벌 초일류 건설사'라는 비전을 세우고 혁신드라이브를 추진해 온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정 부회장은 국내에 편중된 포트폴리오와 단순 시공 중심의 사업구조로는 생존 자체가 힘들다고 판단하고 단순시공에서 EPC, F/S, O&M까지 밸류 체인 확장에 힘썼다. 여기에 건설 상품 간, 건설외 분야 등의 통합과 융합을 통해 마이닝 패키지, 헬스케어, 도시개발 등의 신성장동력 육성에도 모든 역량을 집중했다. 지속적인 기술과 소프트역량 확보에도 매진했다. 발전설계 역량 확보를 위해 미국의 발전설계 전문업체인 S&L사와 기술제휴를 맺었고 올해에는 영국의 권위 있는 LNG터미널 전문 설계업체인 웨소를 인수하기도 했다.

파이낸싱과 관리운영 역량을 요구하는 '민자발전(IPP)/민관협력(PPP)' 등에서도 삼성물산은 국내 건설업계를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물산은 지난 2009년 세계최대 가스복합화력인 사우디아라비아 쿠라야 민자발전을 수주, 시공 중에 있다.

올해도 사우디아라비아 라빅2와 터키 키리칼레 민자발전의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돼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 IPP 외에도 삼성물산은 터키에서 역시 PPP 사업으로 터키 가지엔텝 헬스케어 사업 역시 올해 안에 계약을 앞두고 있다.

정 부회장은 "현재 건설업이 위기의 순간이라고 하지만 지금이야말로 건설업이 창조경제를 선도할 수 있는 핵심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라면서 "삼성물산은 지속적인 변화와 혁신을 통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