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DGIST 황대희 교수팀 류마티스 관절염 원인 밝혀 완치 길 제시

만성 염증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발생 원인이 밝혀져 완치의 길이 열릴 수 있게 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8일 뉴바이올로지전공 황대희(사진) 교수팀과 서울 성모병원 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김완욱 교수팀이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로부터 얻은 활막세포(관절을 구성하는 기본세포) 유전자를 분석해 공격성과 파괴성을 책임지는 13개의 후보 유전자를 찾아냈고, 이 중 페리오스틴(Periostin)과 트위스트(Twist) 유전자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 활막세포에서 페리오스틴과 트위스트 유전자를 제거하면 공격성과 파괴성이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규명해 이 두 유전자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 목표임을 제시했다.

황 교수는 "활막세포의 파괴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기전을 증명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완치할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라며 "앞으로 이번 연구에 적용했던 새로운 분석 기법인 시스템생물학을 류마티스 관련 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활막세포가 종양(암)처럼 증식해 뼈와 연골을 파괴하는 만성 염증질환으로 전 인구의 1%가량이 앓고 있다. 황 교수팀 등의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과학분야 국제학술지인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2월호에 실렸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