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부인과 없는 성주·고령…분만시설 지원 없어 '두 번 설움'

연간 신상아 250명 내외…정부 기준 300명 못 미쳐

성주'고령지역에 산부인과와 소아과가 없어 임신부와 영'유아들이 원정진료를 받아야 하는 불편을 겪고 있다. 정부는 2011년부터 출산장려 차원에서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성주'고령 지역은 지원대상 지역에서 수년째 빠져 있다. 이들 지역의 연간 신생아 수가 300명에 못 미치다 보니 취약지 지원사업 대상조차 안된다는 것이다.

성주지역은 병'의원과 한의원 40여 곳이 운영 중이다. 대부분 병'의원들이 정형외과, 내과, 치과 등에 치중돼 있어 임신부와 영'유아들의 응급진료는 물론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서는 대구, 구미로 원정 출산 및 진료를 받으러 가느라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성주군에서는 연간 240여 명의 신생아들이 태어나고 있다. 성주군은 저출산을 극복하기 위해 매년 출산장려사업(12억500만원), 출산축하금 및 양육지원금(9억4천600만원),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 찾아가는 산부인과 검진차량 지원(월 1회) 등을 전개하고 있다.

연간 250여 명의 신생아가 태어나는 고령군도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병'의원과 한의원 등 25곳이 있지만 산부인과와 소아과는 경영난을 이유로 의사들이 개원을 꺼리고 있다. 임신부 A(26'고령읍) 씨는 "매달 정기검진을 받으러 무거운 몸을 이끌고 왕복 1시간이 넘는 대구까지 가고 있다"면서 "대구까지 가서 아이를 낳으려다 보니 불안감도 있고, 너무 고생스러워 큰 도시로 이사 가고 싶다"고 했다.

고령군은 연간 8억8천600여만원을 들여 출산장려금 및 신생아 건강보험료 지원, 출산'육아용품 대여소 1곳 운영,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사업 등 출산장려사업을 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성주'고령지역의 경우, 정부와 지자체 등이 직접 행정'재정적 지원을 해서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를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는 2011년부터 출산장려 차원에서 분만 취약지 지원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선정된 의료기관이 24시간 분만체계를 갖춘 거점산부인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정 첫해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2억5천만원 등 총 12억5천만원(국비 50%'지방비 50%)을 지원하고, 개원 후에는 매년 운영비 5억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경북도에 따르면 2월 기준으로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영천시'군위군'봉화군'영덕군'영양군'의성군'청도군'청송군'고령군'성주군 등 10개 시'군이다.

성주군보건소 관계자는 "병원들이 경영난을 이유로 산부인과와 소아과 개원을 꺼리고 있다"면서 "산부인과 및 소아과 출신의 공보의라도 배치되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워 찾아가는 산부인과를 활성화하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성주'고령 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