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해진 미세먼지…달라진 것 없는 대구시 대응

최근 들어 대구에 미세먼지가 많이 끼는 등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대구시는 대책 마련에 소극적이어서 시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 습격으로 25일 오전 한때 대구의 대부분 지역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등급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평리동은 이날 오전 10시 기준 농도가 319㎍/㎥('매우 나쁨' 등급)까지 치솟았다. 매우 나쁨의 경우 호흡기 질환자나 노약자, 어린이는 장시간 노출 시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위험하다. 지난 1월 17일에도 미세먼지 농도가 오전 한때 평균 140㎍/㎥를 기록, 평소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구시는 상황이 이런데도 시민들의 행동요령 권고, 원인 분석 등에 나서지 않고 미세먼지 상태를 알리는 데만 급급하다. 시는 대구실시간대기정보시스템을 통해 미세먼지를 예보하고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구시의 대응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 단계 이상으로 짙으면 외출을 자제하라는 정도"라고 했다. 이마저도 홍보 부족으로 상당수 시민들은 모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미세먼지가 심할 것으로 판단되면 각 구'군에 살수차를 동원할 것을 지침으로 내려 보내고 있으며 각 기관이나 학교 등에 미세먼지와 관련한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고 했다.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미세먼지경보제에 대한 보완도 필요하다. 미세먼지 농도가 심했던 25일 대구에는 미세먼지경보가 발령되지 않았다. '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200㎍/㎥ 이상이 2시간 이상 지속될 때'라는 경보제 발령 기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세먼지가 심할 경우 노약자들은 짧은 시간만 노출돼도 건강에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미세먼지가 심각할 때는 지방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이 시민들에게 자막방송이나 언론 등을 통해 홍보하고 구체적인 시민행동요령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생활주변에서 미세먼지 증가 요인을 찾아서 시정권고하거나 금지하고, 경보제의 맹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경보제를 세분화해 그에 맞는 대응지침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의 한 대학교수는 "현재 시스템은 시민들에게 미세먼지 상태를 알리고 외출 자제 등 주의만 주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시민들이 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대책을 만들어 시행해야 시민들도 경각심을 갖고 조심할 수 있다"고 했다.

서울시는 미세먼지는 물론 초미세먼지 대응에도 적극적이다. 초미세먼지주의보가 발령된 24일 서울시는 언론을 통해 이를 널리 알렸다. 25일에는 도로 위 분진 흡입과 물청소 작업을 2배로 확대했다. 또 건강 취약계층에게 대응지침서를 배부하고 저소득층 주민들에게 황사마스크를 지급하는 비상대책을 시행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