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가 KT 회원 1천200만 명의 개인정보를 빼내 휴대전화 판매에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자 시민들은 반복되는 개인정보 유출에 분통을 터트렸다.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6일 KT 홈페이지를 해킹해 개인정보를 빼낸 뒤 휴대전화 영업에 사용한 혐의로 해커 A(29) 씨와 B(38) 씨 등 2명을 구속하고, 이를 도운 텔레마케팅 업체 대표 C(37) 씨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2월부터 최근까지 고유 숫자를 무작위로 자동 입력하는 신종 해킹 프로그램을 개발, KT 홈페이지에 로그인한 뒤 개인정보를 빼내왔다.
이들은 많을 땐 하루 20만∼30만 건씩 1년간 1천200만 명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휴대전화번호, 집 주소, 직업, 은행계좌 등의 정보를 털었다. 이는 전체 KT 가입고객 1천600만 명 중 75%에 이르는 규모이다. 이렇게 빼낸 고객정보는 휴대전화 개통 및 판매에 활용됐다.
2012년에도 전산망을 해킹당해 회원 873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적이 있는 KT는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고, 방송통신위원회도 유출 경위를 파악하고 개인정보 불법매매 사이트를 단속하는 등 2차 피해 예방에 힘을 쏟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은 신용카드사와 통신사 등의 반복되는 개인정보 유출에 불안하다.
김지영(29'여) 씨는 "인터넷에 가입하는 순간 개인정보 유출에 동의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됐다. '동의'란에 표시하는 게 내 정보를 빼가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 같아 씁쓸하다"고 했다. 배현정(31'여) 씨는 "이렇게 허술하게 해킹당하는 것을 보며 우리나라가 'IT강국'이란 말이 맞는지 의심이 든다"며 개인정보 관리에 불신을 드러냈다. 백원준(31) 씨는 "지난달 카드사 정보유출 때 나의 정보가 털렸다. 지난달 휴대전화를 바꾸면서 통신사를 KT로 옮겼는데 재수없다"고 했다.
개인정보에 대한 의식 변화와 철저한 보안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김모(25) 씨는 "스팸 문자가 부쩍 늘었다고 생각했는데 정보유출 소식을 듣고 그 이유를 짐작할 수 있게 됐다. 불쾌하고 불안하다. 통신사들이 광고에 돈을 쏟아붓는데, 그 비용을 개인정보 보호에 투자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윤상설(27) 씨는 "시민들도 개인정보를 인터넷에 마구 뿌려놓고 그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개인정보를 소중하게 여기는 의식이 자리 잡아야 한다"고 했다. 허진(54) 씨는 "대기업 보안이 개인 해커 공격에 못 당할 정도로 허술하다는 게 말이 안 된다. 보안대책을 세우고 인력을 확충하는 등 방지책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