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후보도 모르는 공천룰

새누리 경선방식 결정 못해, "당원 노릴지 지역민 찾을지" 출마자들 멘붕

6'4 지방선거에서 기초단체장'지방의원 출마를 고민하는 새누리당 후보자들이 '멘붕'(정신이 매우 혼란스러운 상태) 직전이다. 공천 접수가 시작된 지 나흘이나 지났지만 '공천 룰'이 아직도 깜깜무소식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역단체장 경선 방식조차 기존 방식에다 일부 지역에 한해 100%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출할 수 있는 예외 조항을 신설해 광역단체장 출마자 등도 큰 혼선을 빚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25일 개정한 당헌'당규에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을 국민과 당원 각각 50%로 구성된 선거인단 경선을 통한 '상향식 공천제'로 뽑는다는 원칙에다 지역에 따라 국민여론조사를 하거나 당원만 참여하는 당내경선을 할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을 뒀다. 공천 룰이 총 세 가지로 나뉘는 셈이다.

유승민 새누리당 국회의원(대구 동을)은 공천 접수 시작 첫날인 4일 "기초단체장은 '당원+국민 상향식 공천제'를 고려하고 있고, 지방의원은 '100% 국민여론조사' 방식을 택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다른 국회의원들은 명분과 실리 사이에서 고민하며 아직도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대다수 출마자들은 선거운동 방식과 전략을 마련하지 못해 허둥대고 있다. 룰에 따라 전략이 달라질 수밖에 없지만 유 의원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공천 룰에 대한 속마음을 내비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최근 출마를 선언한 한 구청장은 "혼란스럽다. 어느 한쪽으로 룰이 정해져야 전략을 단순화할 수 있는데 지금은 이도 저도 못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한 대구시의원 출마자는 "공천에 당원들이 적든 많든 참여하게 되면 당원들을 일일이 찾아가 공약을 홍보해야 하고, 국민여론조사를 하게 되면 직접 발로 뛰면서 지역민과의 접촉 빈도를 높여야 한다"며 "국민여론조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지만, 어떤 방법이든 하루빨리 룰이 결정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공천 룰'은 이르면 다음 주나 돼야 결정될 듯 보인다. '공천 룰'은 공천관리위원회와 지역구 국회의원의 협의하에 정해진다. 새누리당 대구시당에 따르면 대구의 경우 공천 접수가 끝나는 이달 15일쯤에야 공천관리위가 꾸려질 예정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국민여론조사를 하자니 부담스럽고, 당원 중심의 공천을 하자니 가뜩이나 대선 공약 폐지로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몰매만 더 맞을까 봐 결정을 못 내리는 국회의원들이 많다"며 "특히 자기 사람을 지역구에 심고 싶어 하는 초선의원들은 내심 100% 당원경선을 바라고 있지만 마음을 내비치기가 껄끄러워 망설이고 있다"고 귀띔했다.

현재 초선의원들은 2012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지방의원들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됐기 때문에 초선의원과 지방의원 사이에 의견 충돌 횟수가 상대적으로 잦다. 이 때문에 초선의원들은 다음 총선을 대비해 자기 사람 심기에 소홀할 수 없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대구시당 관계자는 "출마자는 룰이 빨리 정해지는 것이 입후보 결정에 도움이 되겠지만, 당 입장에서는 룰에 따라 당원들이 입후보 자체를 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당원 이탈 방지를 위해 룰이 가능한 한 늦게 정해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광역단체장 경선 룰도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당헌'당규에는 2(대의원):3(당원):3(국민선거인단):2(여론조사) 룰을 적용하도록 돼 있지만,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는 7일 일부 지역에 한해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예외 조항을 두면서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