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농촌 폐교 활용 대책에 적극 나서야 한다

농촌 인구가 급속히 줄어든데다 자꾸만 노령화되면서 학생이 모자라 문을 닫을 위기에 놓인 농촌 학교가 늘어나고 있다. 19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콩나물시루 같던 농어촌 면 소재지 학교가 입학 정원을 채우지 못해 폐교가 불가피한 곳이 속출하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다.

하지만 농어촌 면 지역을 대표하는 학교의 폐교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그곳은 지역공동체의 상징이고, 농촌 삶에 활력을 일으키는 마지막 보루이기 때문이다. 지역의 경제적인 기반과도 상관관계가 강하다. 그래서 폐교를 막아보려는 주민들의 노력도 눈물겹다.

청송 현서고의 경우가 그렇다. 올해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해 폐교 위기에 몰리자, 주민 9명이 등록을 하면서 공립고 최소 입학 정원 14명을 채운 것이다. 감동적인 사연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농민으로 최고령이 54세에 이르며, 40대가 6명이나 된다고 한다.

문제는 입학식까지 치른 이들 만학도들이 그 후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어린 학생들에게 피해를 입히게 된 것이다. 결석 일수가 70일을 넘으면 퇴학 처분이 불가피하며, 단 한 명이라도 학업을 포기하면 정상적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큰 영향을 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농사 등 생업에 바쁜 이들이 자식 같은 학생들과 한 교실에서 정규 수업을 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일지도 모른다. 입학원서를 낸 주민들도 정말로 학업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보다는 인근 고교와의 통폐합을 위한 유예기간을 벌기 위해 일단 원서를 냈다는 충정을 토로하고 있다.

교육 당국과 행정기관 그리고 지역 주민들이 학교 통폐합과 폐교 처리 문제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는 사례이다. 농어촌 폐교를 둘러싼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또 뚜렷한 대안이 있는 것도 아니다.

지역 특성이나 관광 자원과 연계한 문화예술적 공간 활용, 농촌체험장 또는 생태학습장 시설 유치, 평생교육이나 사회체육시설로 재활용, 지역 농특산물센터 개설 등 최선의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지혜를 모을 수밖에 없다. 경우에 따라서는 폐교가 그 지역을 상징하고 대표하는 명물이나 명소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