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자마당] 봄철 산불 위험…논'밭두렁 태우기 득보다 실 많아

건조하고 강한 바람이 부는 봄철이 되면 전국에서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한다. 산불의 원인은 대부분 사람의 과실이나 부주의에 의해 일어나는데 입산자 실화, 논'밭두렁 소각, 담뱃불 실화, 쓰레기 소각 등이다. 특히 봄철 논'밭두렁을 태우다가 산불로 이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2월 말에는 광주, 전남 화순, 고흥, 대전 지역에서 70~90대 할아버지, 할머니가 논'밭두렁을 태우다가 인근 야산으로 불이 붙어 이를 끄던 중 각각 숨진 채 발견되어 주위를 안타깝게 하였다. 소방방재청 자료에 의하면 2013년도 전국 임야 화재 발생 건수는 2천334건이었다. 이 가운데 약 20%에 해당하는 465건이 논'밭두렁을 태우다가 발생했다. 특히 산불로 인한 전체 사망자의 50% 이상이 논'밭두렁을 소각하다가 발생했다.

1960, 70년대 논'밭두렁 태우기는 해충 방제책으로 장려 되었으나 이제는 농작물 품종 개량으로 별 피해가 없게 되었다. 농촌진흥청의 자료를 보면 논둑은 유익한 곤충이 89%인 반면 해충은 11%에 불과하다고 한다.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득보다 실이 더 많을 수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관행적으로 해오던 논'밭두렁 태우기는 건조한 시기에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이병한 농협중앙교육원 교수'lbyh2000@naver.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