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존 월 660억달러의 자산 매입 규모를 100억달러 축소해 월 550억달러 규모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포워드 가이던스(선제적 정책 안내)를 실업률 목표치와 연계하지 않고 고용 상황과 인플레이션, 경기전망 등 보다 광범위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처럼 연준이 기준 금리 인상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명확한 지표를 제시하지 않았고, 모호한 입장을 내놓으면서 오히려 향후 연준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 커질 전망이다. 실제 3월 이후 이머징 아시아 중에서 유독 한국에서 외국인 순매도가 집중되고 있다. 특히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의 경기둔화 및 신용 리스크 우려가 반영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중국에 대한 우려도 조심스러운 부양 기대로 옮겨가고 있다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이러한 글로벌 악재들이 어느 정도의 정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리스크가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어서 증시의 강한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악재에 민감한 투자 심리를 감안할 때 반등 폭에 대한 단기 눈높이는 낮출 필요가 있어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낙폭 과대주 및 개별 모멘텀 보유 종목 위주의 기술적 대응이 필요하다.
황성태 삼성증권 대구중앙지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