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신 교수=의미 있는 평가였다. 출마자들이 자신들이 내놓은 공약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공약에 대해 얼마나 자신이 있는지도 알 수 있었다.
▷김경민 총장=출마자들의 역량을 눈 앞에서 볼 수 있는 기회가 됐다. 지금껏 처음 해보는 평가방식이었다. 너무 좋은 기획이었고, 기억에 남는 경험이었다.
▷김영철 교수=서면을 통한 출마자들의 공약은 성의가 없고, 내용도 부실했다. 하지만 이번 면접에서는 출마자들 모두 긴장하고 준비를 잘했다는 인상을 받았다. 면접평가는 피드백이 있다 보니 후보마다 실력을 확실히 들여다볼 수 있었다. '매일신문의 힘'을 느낀 평가였다.
▷박용진 교수=글로 씌어진 공약을 후보들이 말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왜 해당 공약이 나왔는지, 어떤 생각으로 공약을 만들었는 지를 알 수 있었다. 출마자들에게도 도움이 됐을 것이다.
▷서철현 교수=선거 후보자 평가방식의 획을 긋는 방식이라고 본다. 출마자들의 변별력을 높이고, 공약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적인 평가다. 출마자들과 상호 토론을 통해 공약을 심층 분석할 수 있는 창의적 방식으로 본다.
▷장우영 교수=상당히 신선한 시도였다. 문서로 평가하다 면접방식으로 평가해보니 출마자들의 철학과 공약 이해도에 대해 확실하게 알 수 있었다. 이런 방식의 평가를 할 수 있을까, 혹 출마자들이 반발하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해놓고 보니 효과가 컸다.
▷조광현 처장=출마자의 이해도를 점검하고, 반론 재반론을 활발하게 함으로써 출마자들에 대해 제대로 검증하고 변별력을 높이는데 큰 효과가 있었다. 출마자는 다소 힘들었겠지만, 새로운 평가방식이었고 재미있었다.
▷최현묵 전 관장=유권자들을 대표해 대구시장에 대한 출마자들의 마음가짐과 공약에 대한 이해도 등 세세한 면까지 살필 수 있는 기회였다. 다만 이 방식이 효과적이긴 하지만, 출마자들은 부담스럽고 힘든 방식이었을 것이다.
▷한원경 교장= 공약집을 통해 공약을 미리 읽었지만 현장에서 출마자를 통해 직접 들음으로써 공약에 대한 이해도를 잘 파악할 수 있었다. 이번 면접으로 출마자들이 교육 등 무관심했던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