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작업이 좀처럼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정부의 위기관리능력이 과연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범부처사고대책본부(본부장 해양수산부 장관)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로 나뉜 정부 대책반은 숫자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있고 수색상황 발표도 부처끼리 제각각이다. 글자 그대로 갈팡질팡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을 보는 실종자 가족들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고, 구조를 애타게 기다리는 국민들도 "이런 수준의 정부를 도저히 믿을 수 없다"며 정부에 대한 강한 불신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사고 대책의 기본인 정확한 피해 규모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진도 여객선 침몰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이 지나는 동안 구조자 수를 6차례나 번복했다.
해양경찰청은 18일 오후 10시 공식 브리핑에서 탑승객 수를 475명에서 476명으로, 구조자 수는 179명에서 174명으로 정정했다. 특히 구조자 수는 이날 오전 발표보다 5명이 줄었다.
정부는 사고 첫날부터 368명을 구조했다고 발표했다가 이내 164명으로 정정했고 다음날 다시 174명, 175명, 176명으로 번복한 뒤 18일 오전 10시 브리핑에선 179명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12시간 만에 다시 5명이 줄어든 174명이라고 말을 바꿨다.
탑승객 수 역시 첫날 477명에서 이후 459명, 462명, 475명, 476명으로 계속 집계가 번복됐다.
국가 재난대응 지휘탑인 중대본은 사고 첫날부터 하루 종일 피해 규모를 바꾸더니 18일에도 집계를 또 변경했다. 중대본은 이날 오후 11시 현재 전체 승선자 476명 가운데 28명이 숨지고 274명이 생사를 확인할 수 없는 상태며 174명이 구조됐다고 밝혔다. 직전까지 발표했던 승선자 475명, 구조자 179명을 또 정정 발표한 것이다.
전 국민의 염원인 '구조대 선체 진입'과 관련해서도 정부는 우왕좌왕했다. 중대본은 18일 오전 서울 정부청사에서 "선체 진입에 성공했고 식당까지 통로를 확보했다"고 발표했지만 한 시간도 지나지 않아 서해해양경찰청 측은 "여객선 식당에 진입한 것이 아니라, 공기를 주입하고 있다"며 중대본의 발표가 잘못된 것이라고 확인했다.
서울에 있는 중대본이 현장 상황도 모른 채 엉터리 정보를 갖고 브리핑을 한 것이다. 중대본과 서해해경 간 '혼선'이 빚어졌으나 양측 어디에서도 혼란을 바로잡지 못했다.
엉터리 정부 발표에 대한 비난이 거세지자 정홍원 국무총리는 뒤늦게 수습에 나서 18일 오후 8시쯤 결국 구조'수색 활동 정보에 관한 발표 주체를 범부처사고대책본부로 일원화하도록 지시했다.
재난방재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공무원들의 전형적인 형식행정'탁상행정이 위기관리 과정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를 질타하고 있다.
진도에서 서광호 기자·홍준표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