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대구 북구 구암동에 사는 소비자 A씨는 중고자동차 매매상에서 무사고 차량이라는 설명을 듣고 중고자동차를 850만원에 구입했다. 계약 당시 판매원으로부터 성능점검기록부를 교부받았을 때 사고 유무에 '무'라고 표시되어 있었으나 운행 중 자동차에 이상을 느껴 자동차 제조사 A/S센터에서 점검을 받아 보니 사고 차량으로 확인됐다.
A=중고자동차매매상사에서 성능점검기록부를 통해 소비자 A씨에게 판매한 중고자동차가 무사고 차량이라고 알렸는데 제조사 A/S센터에서 사고 차량으로 확인되었다면, A씨는 매매상사에 중고자동차를 반환하고 구입대금의 환급을 요구할 수 있다. 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중고자동차 매매사업자가 사고 또는 침수 사실을 고지하지 않은 경우 소비자는 중고자동차 구입일로부터 1년 이내에 '구입가 환급 또는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있다.
Q=경북 구미시에 거주하는 소비자 B씨는 중고자동차 매매상사에서 중고자동차를 600만원에 구입해 운행하던 중 1주일도 지나지 않아 엔진 냉각수가 분출되면서 엔진 헤드에 하자가 발생했다. B씨는 매매상사에 이 사실을 통보하고 무상수리를 요구했으나 매매상사는 신차가 아니기 때문에 무상수리를 해 줄 수 없다고 주장했다.
A=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서는 중고자동차가 보증기간 이내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무상수리 또는 수리비 보상'으로 보상기준이 정해져 있고, 이때 보증기간은 최소 30일 이상, 2천㎞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 B씨의 경우처럼 중고자동차를 구입한 후 일주일도 되지 않아 하자가 발생하였다면 매매상사에 하자 부위에 대해 무상수리를 요구할 수 있다.
※소비자 주의사항
중고자동차 성능'상태점검기록부는 점검 내용 중에서 하자가 나중에 발생한 경우 보증수리를 요구할 수 있는 근거가 되므로 사업자에게 반드시 받아서 보관해 두어야 한다. 중고자동차 사고 유무는 보험수리차량은 보험개발원의 사고이력조회서비스(www.carhistory.c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보험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확인이 어렵다. 이 때문에 중고자동차 구입 후 자동차제조사 AS센터 등에서 차량 상태에 대해 점검을 받아 보는 게 좋다.
중고자동차 보증기간은 개별약정에 따르므로 구입 시 매매상사에 보증기간, 보증범위를 명확히 확인해야 한다. 이와 함께 이를 구매계약서에 명시해 두어야 한다. 현행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따르면 중고자동차 보증기간은 개별약정에 따르지만 최소 30일 이상, 2천㎞ 이상이어야 하며 그중 먼저 도래한 것을 적용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소비자불만 상담은 1372소비자상담센터(국번 없이 1372)
한국소비자원 대구지원 제공
댓글 많은 뉴스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
'시진핑·中대사 얼굴' 현수막 찢었다가…尹 지지단체 입건
국힘, '전당대회 방해' 전한길 징계 절차 개시…"조속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