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0조 넘게 풀린 5만원권…"당신 지갑엔 몇장?"

국민 1인당 18장 보급된 셈…유통량 적어 '지하활동' 의혹

5만원권이 발행 5년만에 시중 유통화폐 잔액의 약 3분의 2를 차지할 만큼 화폐시장을 장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 23일 처음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해 만 5살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량만큼 시중에 나돌지 않아 상당수가 지하(?)에서 활동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발행 첫해인 2009년말 5만원권의 시중 발행잔액은 9조9천230억원이었다. 이어 2010년 18조9천962억원, 2011년 25조9천603억원, 2012년 32조7천665억원, 2013년 40조6천812억원 등 한해 7조∼8조원 가량 공급됐다.(표참조) 시중에 풀린 화폐(기념주화 제외) 중 5만원권의 연말 발행잔액 비중은 2009년 26.6%, 2010년 43.9%, 2011년 53.3%, 2012년 60.3%, 2013년 64.2%로 높아졌다. 올 4월말 현재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은 43조8천510억원으로, 전체 화폐 잔액의 65.9%를 차지했다. 시중에 풀린 5만원권은 장수로는 8억7천702만장으로 국민 1인당 17.8장가량 보급돼 있는 셈이다.

그러나 최근 불법선거자금이나 음성거래 등 지하경제의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한다.

2002년 대통령 선거 때 '차떼기'에 사용된 사과상자에는 1만원권으로 약 5억원, 007가방에는 1억원이 들어갔지만 5만원권을 사용하면 사과상자에는 25억원, 007가방에는 5억원이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우려대로 5만원권이 지하경제 확산에 이용되고 있는 정황이 속속 불거졌다. 5만원권의 환수율 하락, 개인금고 시장 확대 등이 뚜렸해졌다. 5만원권 환수율은 발행 첫해인 2009년 7.3%에 그쳤지만 2010년 41.4%, 2011년 59.7%, 2012년 61.7% 등으로 꾸준히 상승하다가 지난해 48.6%로 뚝 떨어졌다.

특히 대구경북의 환수율은 전국 환수율의 절반수준. 2010년 30.3%에서 2011년 44%, 2012년 48.2%로 환수율이 꾸준히 증가했지만 지난해 25.4%로 환수율이 크게 떨어졌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관계자는 "대구경북의 경우 현금 보유 성향이 강한 농촌지역이 많고 자금의 역외 유출도 많은 지역 경제구조 특성상 5만원권 환수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