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북도청 내년 7월 이전 시작, 설득력 있지만

경북도청 연말 이전은 시기상조라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면서 도청 이전 논의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경북도정 자문기구인 '새출발위원회'(위원장 하춘수)가 도청 이전 시작을 내년 7월로 제안함에 따라 상황에 따라 개청식이 내년 도민의 날(10월 23일) 쯤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선거 전 공약한 올 연말 이전에서 1년가량이나 늦어지는 셈이다.

도청 이전 시기 조정론이 이렇게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은 현실적인 여건 때문이다. 도청 신도시 진입도로 공사가 내년 상반기에 개통되고, 신도시 내 유치원과 초'중학교도 내년 2학기에나 문을 열 전망이다. 공무원 임대아파트 준공도 내년 연말로 예정되어 있다. 당장은 도청 이전을 하더라도 직원들이 거주할 공간이 없어 대구에서 출'퇴근을 해야 할 형편인 것이다. 공무원 출퇴근 비용만 37억 원이나 든다. 만만찮을 것이다.

게다가 가장 중요한 기반 시설인 하수처리장이 준공되는 내년 여름까지는 건물 사용 허가가 나지 않아 신청사가 완공되어도 들어갈 수도 없는 입장이다. 이처럼 정주 여건이 미비된 상태에서의 단순한 도청의 위치 이전은 대구경북 전체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도청 신도시의 성공 여부가 숙박, 교육, 의료, 외식 등 정주 여건을 얼마나 빠른 시일 안에 착근시키느냐에 달려 있다는 것은 전남과 충남도청 신도시의 사례에서도 유추해 볼 수 있다. 옮긴 지 10년이 다 되어가는 전남도청 공무원 대부분이 아직도 광주에 거주하거나 남악신도시에 혼자 살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유관기관 이전이 미온적인데다 행정 통합 미비로 혼선을 빚고 있는 충남도청 신도시의 기형적인 모습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물론 '개도 700주년'이라는 상징성과 도지사의 연말 이전 공약이 있었고, 도청 조기 이전이 신도시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했던 안동'예천을 비롯한 북부 지역 주민들의 상실감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도지사의 양해와 설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신도시 주변 교통망 확충과 국가산업단지 조성, 그리고 도청 이전터 개발 등 대구경북의 상생 발전을 위한 조치들도 도청 이전의 진정한 성공을 위한 전제 조건들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