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시장 전면 개방 후 축산 농가의 어려움이 심화하는 가운데 전국 최대 한우 사육지역인 경북이 쇠고기 유통체계 개편 및 고부가 가치화에 나서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은 23일 '대경 CEO 브리핑' 제401호에서 'FTA 시대, 경북 쇠고기 산업의 활로'를 주제로 한 채종현 박사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쇠고기 시장은 2001년 전면 개방 후 한·미 FTA(2012년), 한·호주 FTA(2013년), 한·캐나다 FTA(2014년)를 거치면서 개방이 더욱 확대됐다. 쇠고기 수입 비중과 함께 국내 한우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쇠고기 가격은 크게 하락해 축산 농가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2013년 현재 국산 쇠고기 가격은 2010년 대비 20% 하락했고, 송아지 가격은 2010년 249만4천원에서 2013년 163만6천원으로 35% 하락했다.
이런 사정을 고려할 때 한육우 사육두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경북 축산 농가의 피해가 클 것으로 채 박사는 내다봤다.
경북의 한육우 사육두수와 농가수는 각각 61만두(20.9%)와 2만6천468호(21.3%)로 전국 9개 도 지역 가운데 최다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경북은 1+등급 이상의 고급육 생산량이 많지만 고급육의 출현율은 그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고급육 생산이 많은 전국 상위 10개 시·군 중 상주, 안동, 영주, 경주 등 4개 경북 지역이 포함됐지만, 고급육 출현율 상위 10개 시·군 중에는 봉화와 안동만이 이름을 올렸다.
채 박사는 "고급육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1등급 이하 중저가 쇠고기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것이 앞으로 경북 쇠고기 산업의 과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북 쇠고기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의 첫 과제로, 고급육 출현율 향상을 위해 생산시설 현대화를 지원하고, 관련 생산기술을 개발·보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프리미엄 고급 쇠고기 브랜드는 시·군별로 육성하되, 1등급 이하 쇠고기를 중심으로 한 통합 브랜드를 육성하는 '2트랙 브랜드 육성 전략'도 필요하다고 했다. 생산자 단체가 연합하고, 지자체가 간접 지원하는 친환경 축산 지원 조직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