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위아래로 15%씩인 국내 주식시장의 일일주가변동폭 제한을 풀기로 함에 따라 주식투자 행태에 변화가 예상된다.
29일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 등에 따르면 정부는 주식시장 및 상장 활성화를 위해 1998년부터 15%로 묶여 있는 상'하한가 폭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점진적으로 가격제한폭을 넓힌 뒤 일정 시점 이후부터는 아예 폐지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등 선진국 주식시장에는 상'하한가 제도가 없다.
정부는 이 같은 조치로 더 많은 외국인투자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지금까지도 외국인투자자들은 국내 주식을 사고 팔 때 물량 제약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작용도 있다. 상'하한가가 없어지면 가격등락폭이 지나치게 커져 오히려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정부는 지난 2012년에도 말 한국거래소가 한 차례 상'하한가 제도 확대'폐지 방안을 추진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
정부는 시장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특정 주가가 급등락할 경우 거래를 중지한 뒤 한동안 단일가 매매로 전환하는 방안 등 보완책도 함께 준비 중이다.
정부는 구체적인 방침이 확정되면 8월 중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열릴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임승원 한국거래소 상무는 "가격 상한폭이 확대됨에 따라 보다 합리적이고 신중한 투자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다"며 "보완장치를 마련해 추진하는 것이 시장 선진화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추진할 경우 빠른 진척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상장법인이 주식 총수의 20%를 의무적으로 우리사주조합에 배정하도록 한 자본시장통합법 개정도 함께 검토 중이다. 최근 증시 불황으로 수요가 감소하면서 일부 업체의 경우 근로자에 대한 우리사주 강매 현상이 발생하는 등 부작용이 커지고 있어서다. 정부는 법을 고쳐 노사 협의에 따라 20%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배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30일 오전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며 보도가 너무 앞서나가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